북한은 대안의 사업체계를 “공장 · 기업소들이 당위원회의 집체적 지도 밑에 모든 경영 활동을 진행하며, 정치사업을 앞세우고 생산자 대중을 발동하여 제기된 경제과업을 수행하며 위가 아래를 책임적으로 도와주는 경제관리체계”라고 설명하고 있다. 대안의 사업체계가 도입되기 이전에는 부문별 중앙기관의 지도하에 지배인 단독책임제에 따라 공장기업소 관리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지배인 단독책임제에 기초한 공업관리체계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을 낳았다. 첫째, 지배인이 모든 결정권을 가지고 생산에 대하여 책임을 혼자서 지게 되므로 생산자 대중은 자신에게 주어진 과제 이외에는 관심을 갖지 않고 기업소 전체의 생산관리에도 소극적이었다. 따라서 노동자들은 관료주의적 명령이나 지시에 복종하는 일종의 피고용자로서 행동한 것이다.
둘째, 노동자는 직업동맹이나 생산협의회 등을 통하여 생산관리에 참여하였으나 이는 불충분한 참여방식이라고 인식되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김일성(金日成)은 1961년 12월 대안전기공장(남포시)의 현지지도를 통해, 공장의 최고 지도기관으로서 공장당위원회의 집체적 지도체계를 확립하고, 계획 · 생산 · 기술을 통일적 · 종합적으로 지도하는 생산지도체계를 강화하는 한편, 노동자들의 후생을 담당하는 이른바 ‘후방공급체계’의 개선 문제를 제시하는 등 새로운 공업관리체계의 모델을 창출하였다.
대안의 사업체계는 크게 세 개의 기본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번째는 공업기업의 관리운영에 있어서 해당 당위원회의 집단지도체계의 확립, 즉 공장당위원회가 최고지도기관으로서 해당 기업을 집단적으로 관리운영하고 기업활동의 결과에 대해서 전면적으로 책임을 지도록 하는 것이다.
두번째는 통일적 · 종합적인 생산지도체계의 확립이다. 종래에는 각각 별개의 지휘체계에 속해 있던 계획부 · 생산지도부 · 공무동력부 등을 단일한 지도체계로 결합하고 생산을 잘 아는 기사장이 통일적 · 종합적으로 생산을 지도하게 된 것이다.
세번째는 공장 후방부서와 후방공급기관이 기업소와 근로자구의 주민에게 생활 필요물자를 직접 책임을 지고 공급하는 후방공급체계 등이다. 따라서 대안의 사업체계는 집단주의 정신에 입각하여 근로대중을 효과적으로 동원, 정치사업을 선행시키는 가운데 생산력을 제고시키려는 공업관리형태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