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릉 대풍감 향나무 자생지 ( 나무 )

목차
관련 정보
울릉 대풍감 향나무 자생지
울릉 대풍감 향나무 자생지
식물
지명
국가유산
경상북도 울릉군 서면 태하리에 있는 향나무 자생지.
국가자연유산
지정 명칭
울릉 대풍감 향나무 자생지(鬱陵 待風坎 香나무 自生地)
분류
자연유산/천연기념물/생물과학기념물/유전학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천연기념물(1962년 12월 07일 지정)
소재지
경북 울릉군 서면 태하리 산99번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상북도 울릉군 서면 태하리에 있는 향나무 자생지.
내용

1962년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면적 11,900㎡. 울릉도에는 본래 많은 향나무가 자라고 있었으나, 남벌로 인하여 많이 줄어들고 남아 있는 것들은 사람들이 접근하기 어려운 절벽 근처에서 자라고 있다.

태하리는 과거에 군청이 소재하던 곳으로 감시의 효과가 있어서인지 집단을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바닷바람의 영향을 받아 크게 자라지는 못하고 있다.

향나무와 같이 경제적 가치가 높은 수종은 야외에서 사라져가기 때문에 어떤 종은 그 자생지를 잃어버리고 인공적인 입지에서 자라기도 한다. 따라서 향나무가 자라는 데 적합한 장소를 보존하고 유전자원을 보존하기 위하여 천연기념물로 지정, 보호하고 있다.

참고문헌

『문화재대관』 -천연기념물편-(문화재관리국, 1993)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