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독립군 ()

목차
관련 정보
홍범도
홍범도
근대사
단체
1919년 만주에서 조직되었던 독립운동단체.
목차
정의
1919년 만주에서 조직되었던 독립운동단체.
개설

사령관 홍범도(洪範圖), 부사령관 주건(朱建), 참모장 박경철(朴景哲)이었다. 국민회군(國民會軍) 중 가장 강력했으며, 조선총독부 예하 일본군과의 전투에서 큰 전과를 올린 단체였다.

기능과 역할

왕청현 봉오동(汪淸縣鳳梧洞)에 근거지를 두고 홍범도를 중심으로 간도(間島)의 구(舊)의병과 노령(露領)의 농민·노동자 200여 명이 각지에서 무기를 구입해 독립군 양성에 주력하였다. 1919년 8월함경남도 혜산진의 일본군 수비대를 습격했으며, 9월에는 함경남도 갑산군에 진입해 금정(金井)주재소 등을 습격하였다.

10월평안북도 강계의 만포진을 점령하고 자성군으로 진출, 사흘간 일본군과 교전해 70여 명을 사살하였다. 그러나 무기와 병참 보급이 곤란해져 1919년 겨울 간도의 대한국민회 산하로 들어가 재정적 지원을 받았다. 병사들을 증원해 병력이 600명이 되었으며, 군총 600정, 권총 약 30자루, 총 1정에 탄약 약 200발을 갖추어 전투력이 강화되었다.

최진동(崔振東)의 군무도독부 독립군 등과 유기적인 연락을 취하면서 독립운동을 전개하던 중 1920년길림(吉林) 지역의 우리 독립군 2,000명은 일본군 진영을 야습해 300명을 사살하고 400명을 패주시키는 전과를 올렸다.

그 해 5월 국민회의 요청으로 국민회무장부대·군무도독부와 연합해 대한북로독군부(大韓北路督軍府)를 창설하였다. 근거지는 왕청현 봉오동에 두었다. 독군부장 최진동, 부관 안무(安武), 북로제1군사령부장 겸 군사령관 홍범도, 제1중대장 이천오(李千五), 제2중대장 강상모(姜尙模), 제3중대장 강시범(姜時範), 제4중대장 조권식(曺權植)이었다.

이원(李園)부대의 연합군단 700여 명은 1920년 6월 4일부터 7일까지 삼둔자전투·봉오동전투에서 적군 전사 157명, 중상 120명, 경상 100여 명을 내는 대승을 거두었다.

그 뒤 7월 20일 북간도 독립군 단체는 북로군정서를 중심으로 한 동도군정서(東道軍政署), 대한독립군을 중심으로 한 동도독군부(東道督軍府)로 통합되었다. 동도군정서는 김좌진(金佐鎭)을 사령관으로 북로군정서군 1,600여 명이었고, 동도독군부는 홍범도를 사령관으로 대한독립군·국민회군·도독부군·의군단군·신민단군의 통합군 1,600명이었다.

10월 6일 조선총독부 예하 조선군 제19·20사단 1만 5000명의 간도 출병으로 이 달 20일 북간도 독립군은 다시 재편되었다.

제1연대 홍범도는 대한독립군(300명)·국민회군(250명)·의군단군(250명)·한민회군(200명)·의민단군(100명)·신민단군(100명)·광복단군(200명), 제2연대장 김좌진은 북로군정서군 1,600명, 제3연대장 최진동은 군무도독부군 600명이었다.

같은 달 21일 백운평전투, 22일 완루구전투·천수평전투·어랑촌전투, 24일 천보산전투 등지에서 적측 전사 1,254명, 부상 2,000여 명을 내었다. 이 중 홍범도 휘하 1연대는 1,200명의 적군을 살상하였다.

그 뒤 일제의 보복으로 대한독립군 600명은 사령관 홍범도의 지휘 하에 노령으로 이동해 대한독립군단에 합류하였다. →봉오동전투, 청산리대첩

참고문헌

『독립신문(獨立新聞)』(상해판)
『한국독립운동지혈사』(박은식, 유신사, 1920)
『독립군사』(윤병석, 지식산업사, 1990)
『독립운동사』5(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3)
『한국독립운동사』3(국사편찬위원회, 1967)
『한국독립운동사』(애국동지원호회, 1956)
『朝鮮獨立運動』Ⅱ(金正明 編, 東京: 原書房, 1967)
『朝鮮民族運動年鑑』(在上海日本總領事館警察部 第二課 編, 東文社書店, 1946)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정원옥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