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산 임존성 ( )

건축
유적
문화재
삼국시대, 최대급 산성으로 충청남도 예산군 대흥면 상중리에 있는 백제 석성. 사적 제90호.
이칭
이칭
봉수산성(鳳首山城)
유적
건립 시기
백제
관련 국가
백제
관련 단체
백제 부흥군
관련 인물
흑치상지, 유금필
높이
3~4m
둘레
2,426m
면적
937,686㎡
소재지
충청남도 예산군 대흥면
국가지정문화재
지정기관
문화재청
종목
사적(1963년 01월 21일 지정)
소재지
충청남도 예산군 대흥면 상중리
내용 요약

예산 임존성(禮山 任存城)은 충청남도 예산군에 있는 백제 석성이다. 이 산성은 해발 484m 봉수산 정상부에서 중복(中腹)에 걸쳐 축조한 삼태기식 산성으로, 봉수산성이라고도 한다. 이 산성은 둘레가 2,462m에 이르는 삼국시대 최대급 산성으로 북벽과 서벽에 초축 당시의 모습이 남아 있다. 예산 임존성은 백제 부흥군이 나당 연합군과의 전투에서 처음으로 승리한 곳으로 이후 백제 고지(故地) 전역에서 백제부흥운동이 일어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곳이다.

정의
삼국시대, 최대급 산성으로 충청남도 예산군 대흥면 상중리에 있는 백제 석성. 사적 제90호.
발굴경위 및 결과

예산 임존성(禮山 任存城)은 주류성과 더불어 백제부흥운동을 대표하는 양대 거점성이다. 이러한 역사적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예산 임존성의 성곽이나 성내 시설물이 제대로 파악되지 않아 연구와 정비 복원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따라 임존성에 대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정밀 지표조사가 이루어졌다. 뒤이어 정비 복원을 위해 주1, 남문지, 주2 등이 발굴 주3되었다.

건립경위

예산 임존성은 전체 둘레가 2,462m에 이르는 삼국시대 최대급 산성이다. 더구나 이 성은 백제부흥운동 시기 백제 부흥군이 나당 주6과 싸워 처음으로 승리한 곳으로 역사적 가치가 매우 높은 산성이다. 또한 주4으로 가공한 성돌로 성벽 전체를 바른층쌓기 방식으로 축조하여 고고학적으로도 성곽의 발전 과정을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산성이다. 그렇지만 축조 목적이나 축조 배경과 관련된 기록이 전혀 없어 예산 임존성을 축조한 정확한 경위는 알 수 없다. 다만 백제부흥운동기에 거점성으로 사용된 곳이니만큼 백제의 서북쪽을 방어하기 위해 성을 쌓은 것이 아닌가 추정하고 있다.

변천

660년 7월 백제 의자왕은 나당 연합군의 침공에 굴복해 항복하였다. 이때 흑치상지(黑齒常之)도 무리를 거느리고 함께 항복하게 된다. 나당 연합군이 의자왕을 옥에 가두고 군사들을 풀어 심하게 노략질을 하자 이를 두려워한 흑치상지는 좌우 주5 10여 명과 함께 도망쳐 임존산(任存山)을 기반으로 백제부흥운동을 일으켰다. 8월 26일 나당 연합군이 임존성을 공격하자 백제 부흥군은 험한 지세를 이용해 연합군을 격파하였다. 이를 통해 임존성은 백제 부흥군의 주요 거점성 중 하나가 되었다. 663년 백제 부흥군에 내분이 일어나 복신(福信)도침(道琛)을 살해하고 풍왕(豊王)이 복신을 살해하는 과정을 겪으며 흑치상지도 나당 연합군에게 항복하게 되었다. 그 후 흑치상지가 임존성을 공격함으로써 임존성은 마침내 함락되었다.

후삼국시기에 이르면, 예산 임존성은 후백제와 고려의 주요 접전지가 되었다. 유금필이 이끄는 고려군이 925년에 예산 임존성을 함락시킴으로써 후삼국 통일을 위한 결정적 발판을 마련하기도 하였다.

형태와 특징

예산 임존성은 해발 484m의 봉수산 정상부에서 중복(中腹)에 걸쳐 삼태기식으로 축조된 석성이다. 성내 지형은 북고남저(北高南低)형이다. 성벽 전체를 돌로 축조하였으나 대체로 붕괴되었다. 그러나 일부 구간에 원형이 잘 남아 있다. 남아 있는 성벽에서 임존성을 쌓을 때 4가지 축성법이 사용된 것을 알 수 있다. 하나는 장방형으로 가공한 성돌을 이용하여 바른층쌓기 방식으로 축조한 것이고, 두 번째는 주7을 이용하여 성을 쌓되 성벽의 하부와 상부를 비슷한 크기의 성돌로 축조한 것이다. 세 번째는 일정하지 않은 크기의 할석과 자연석으로 성벽을 축조하고, 성돌 사이의 틈을 작은 쐐기돌 같은 것으로 채워 넣은 방식이다. 네 번째는 성벽 하단부에 큰 성돌을 놓고 위로 올라갈수록 작은 성돌로 쌓는 방식이다. 서로 다른 축성법 4가지가 섞여 있는 것으로 볼 때, 예산 임존성은 초축 후 적어도 세 차례 이상 수축(修築)한 것을 알 수 있다.

성곽과 관련된 부대시설로는 성문, 건물지, 우물터 등이 있다. 문지는 북문지와 남문지가 남아 있고, 건물지는 성내 곳곳에 자리하고 있다. 우물터는 모두 세 지역에서 발견된다.

의의 및 평가

예산 임존성은 백제 부흥군의 거점 중 한 곳이었다는 점에서 학술적으로 그 가치가 높다. 이 성은 삼국시대 산성으로는 이례적으로 높은 산봉(山峰)에 자리하고 있고 성벽의 둘레도 다른 성들에 비해 월등하게 크다. 따라서 백제부흥운동 시기에 등장하는 임존성과 현재의 예산 임존성이 다른 유적이라는 견해도 있다.

참고문헌

원전

『대동지지』
『삼국사기』
『신증동국여지승람』

단행본

충남발전연구원, 『禮山 任存城』(예산군, 2000)
백제문화재연구원, 『禮山 任存城 水口址 發掘調査』(예산군, 2010)
백제문화재연구원, 『禮山 任存城 水口址 發掘調査(2차)』(예산군, 2011)
백제문화재연구원, 『禮山 任存城 建物址遺蹟』(예산군, 2016)
동방문화재연구원, 『禮山 任存城 現況調査』(예산군, 2017)

논문

심정보, 「백제 부흥군의 주요 거점에 관한 연구」(『백제연구』 14, 1983)
이남석, 「예산 봉수산성(임존성)에 대한 일고찰」(『백제문화』 28, 1999)
주석
주1

물을 끌어 들이거나 흘려 내보내는 터. 우리말샘

주2

어떤 건물이 있던 터. 우리말샘

주3

땅속에 묻혀 있는 것을 파내서 그것을 토대로 이루어지는 조사. 또는 세상에 널리 알려지지 않은 것을 찾아 밝혀내기 위해 하는 조사. 우리말샘

주4

내각(內角)이 모두 직각인 사각형. 주로 정사각형이 아닌 것을 이른다. 우리말샘

주5

원시 사회에서 생활 공동체를 통솔하고 대표하던 우두머리. 우리말샘

주6

삼국 통일 전쟁 시기에, 신라와 당나라가 연합하여 구성한 군대. 우리말샘

주7

구조물의 기초에 쓰이는 깬돌. 1개의 중량이 10~100kg로 여러 종류가 있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서정석(공주대학교)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