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권 2책. 신활자본. 1934년 그의 후손 우봉(祐鳳) 등에 의해 편집, 간행되었다. 권두에 김영한(金寗漢)의 서문과 권말에 한서교(韓序敎) 등의 발문 3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있다.
서문에 이어 총목이 있고, 권1에 시 189수, 권2·3에 서(書) 74편, 권4에 기(記) 5편, 가장(家狀) 1편, 묘지 2편, 제문 9편, 통유문(通諭文) 4편, 잡저 1편, 권5에 일록(日錄), 권6은 부록으로 세계(世系)·행장·묘갈명·묘지명·제문·잡록(雜錄)과 저자에 관하여 여러 사람들이 쓴 시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대부분 오언율시와 칠언절구로 「자탄(自嘆)」·「자술(自述)」·「유거(幽居)」 등 영탄과 은둔의 정을 나타내는 것이 대부분이며, 「등팔경대(登八景臺)」·「과온천(過溫泉)」 등의 경관을 노래한 것도 있다.
서(書)에는 이재형(李載亨)·이재(李縡)·윤심형(尹心衡) 등의 명망 있는 학자들과 주고받은 것이 많은데, 이 가운데 「상송암이선생문목(上松巖李先生問目)」 3편은 장례·복상 등의 예론에 관해 이재형에게 물은 내용이며, 「답이덕부문목(答李德符問目)」은 역시 예설에 관한 내용으로 수묘(守墓)·배곡(拜哭)·제례(祭禮)·복제(服制) 등 제자에게 자기의 견해를 구체적으로 밝히고 있다.
잡저의 「송암선생유사(松巖先生遺事)」는 그의 스승인 이재형의 유사(遺事)를 모아 전기의 형식으로 기록한 것이다.
「일록(日錄)」은 1734년(영조 10) 29세 때부터 1752년 세상을 떠나기 전날까지의 약 18년간에 걸친 생활 일기인데, 중간에 빠진 날도 많이 있으나 일기를 일생 동안 썼다는 사실이 주목된다. 그밖에도 자기의 결심과 취미 등을 밝혀놓은 「덕암기(德巖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