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계유고 ()

목차
유교
문헌
조선시대 때의 학자, 심제현의 시 · 기 · 설 · 논 등을 수록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시대 때의 학자, 심제현의 시 · 기 · 설 · 논 등을 수록한 시문집.
내용

5권 5책. 필사본.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권1·2는 시로 권1의 동협록(東峽錄)에 14수, 가림록(嘉林錄)에 50수, 저강록(楮江錄)에 14수, 단구록(丹丘錄)에 93수, 권2의 주계록(朱溪錄)에 63수, 남행록(南行錄)에 17수, 서유록(西遊錄)에 40수, 입포록(笠浦錄)에 19수, 재경록(在京錄)에 24수, 습유록(拾遺錄)에 12수, 권3은 잡저로 기 7편, 서(序) 4편, 설 3편, 주 2편, 권선문 1편, 제문 8편, 부 3편, 지(識) 1편, 발 2편, 명 1편, 논 4편, 권4는 시로 도계록(桃溪錄)에 45수, 상유록(上游錄)에 52수, 금계록(錦溪錄)에 40수, 괴강록(槐江錄)에 47수, 권5는 잡저로 소 4편, 논 5편, 제문 3편, 발 2편, 기 2편, 제문 8편, 애사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광대한 기상과 자상함을 아울러 지닌 그의 원만하고도 치밀한 성격을 잘 보여주고 있다.

설에는 「동구양죽설(東丘養竹說)」이 있는데, 대나무를 사랑하는 다섯 가지 이유를 밝히고 있다. 즉 굳세고 곧은 것은 그 질(質)을 말함이며, 성기면서 맑고 깨끗하니 그 기(氣)가 착하고 서러우며, 휘면서도 곧고 늠름함은 그 의표가 당당하고, 찬 서리와 눈을 업신여기고 홀로 무성함을 자랑하니 그 절개가 가상하며, 중간이 비고 형통함은 겸양의 미덕까지를 갖춘 것이니, 대나무야말로 맑음과 깊숙함을 고루 갖춘 군자다운 기품을 지녔기 때문이라고 서술하고 있다.

이밖에도 「송천신거서(松川新居序)」·「포은정안서원청액소(圃隱靜安書院請額疏)」·「선정불여선교지득민론(善政不如善敎之得民論)」 등의 글은 모두 사람들의 교양에 도움이 될 만한 자료들이다.

집필자
이순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누구나 자유로이 이용 가능하며,
    항목 내용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