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12곡 ()

목차
관련 정보
도산십이곡가
도산십이곡가
고전시가
작품
조선 중기에 이황(李滉)이 지은 시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중기에 이황(李滉)이 지은 시조.
개설

12수의 연시조. 작자는 이 작품을 전육곡(前六曲)·후육곡(後六曲)으로 나누고, 전육곡을 ‘언지(言志)’, 후육곡을 ‘언학(言學)’이라 이름 붙였다. 『언지』는 천석고황(泉石膏肓: 산수를 사랑하는 것이 마치 불치병처럼 지나침)의 강호은거(江湖隱居)를 읊었고, 『언학』은 학문과 수양을 통한 성정(性情)의 순정(醇正)을 읊었다. 도산서원(陶山書院)에 목판본이 있다.

내용

작자는 이 작품을 짓게 된 동기를 「도산십이곡발(陶山十二曲跋)」에서 “한림별곡류(翰林別曲類)는 긍호방탕(矜豪放蕩)하고 설만희압(褻慢戱狎)하여 군자의 숭상할 바가 아니다.”, “이별육가(李鼈六歌)는 완세불공(玩世不恭)의 뜻이 있고 온유돈후(溫柔敦厚)의 실(實)이 적다.”, “국문시가는 한시(漢詩)와는 달라서 노래할 수 있어서 흥이 난다.”라고 말하였다. 첫째와 둘째는 기존의 시가에 대한 불만이고, 셋째는 국문시가에 대한 새로운 인식이다.

「한림별곡」·「관동별곡」·「죽계별곡(竹溪別曲)」의 한림별곡류는 고려 사대부의 풍류를 읊었는데, 관능적이고 향락적이다. 작자는 이것을 못마땅하게 여겨 배척하고, 그 대신 새로운 풍류를 제시하였다. 즉 산수유상(山水遊賞)을 통해 올바른 성정을 수양해 가는 일이다.

이별육가는 ‘은(隱)’을 강력히 주장했는데, 그것은 ‘결신멸세(潔身蔑世)’의 오만스러운 내용이다. 작자는 이것을 배척하고 조선 사대부에 맞는 ‘은’을 제시했으니, 바로 “연하(煙霞)로 지블 삼고 풍월(風月)로 버들 사마/태평성대(太平聖代)에 병으로 늘거가뇌/이 듕에 ᄇᆞᄅᆞᄂᆞᆫ 이른 허므리나 업고쟈”의 천석고황이다. ‘은’에는 ‘결신’이 으레 따른다. 그러나 그것은 ‘겸선(謙善)’에 그쳐야지 ‘멸세’에 흘러서는 안 된다. 작자는 특히 멸세의 오만을 경계한 것이다.

작자는 한시와 시조의 차이를 ‘영(詠)’과 ‘가(歌)’로서 파악하고, 가창이 낳는 흥에다가 시조의 존재 이유를 설정하였다. 이것은 문학관으로서의 하나의 자각이다. 한시에서는 충족할 수 없는 흥을 시조에서 찾고, 그 흥을 매개로 자기를 창조하는 그런 자각이다. 그 자각이 이 작품을 낳게 한 것이다.

의의와 평가

「도산십이곡」은 후세 사림파(士林派) 시가의 중심적 지표가 되었다.

참고문헌

「강호가도연구(江湖歌道硏究)」(최진원, 『국문학과 자연』, 성균관대학교출판부, 1981)
「도산십이곡(陶山十二曲)에 대한 연구(硏究)」(김경한, 『도남조윤제박사회갑기념논문집』, 신아사, 1964)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