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사음 ()

고전시가
작품
조선 중기에 최현(崔睍)이 지은 가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중기에 최현(崔睍)이 지은 가사.
구성 및 형식

모두 112구. 작자의 문집인 『인재속집(訒齋續集)』 권8에 가사 「명월음(明月吟)」과 함께 수록되어 있다. 제목 ‘용사(龍蛇)’는 각각 임진년과 계사년을 가리킨다.

내용

처음 “내 타신가 뉘타신고/천명(天命)인가 시운(時運)인가·져근덧 사이에/아무란 줄 내 몰래라/백전건곤(百戰乾坤)에/치란(治亂)도 미상(靡常)ᄒᆞ고/남만북적(南蠻北狄)도/녜브터 잇건마ᄂᆞᆫ/참목상심(慘目傷心)이/이대도록 ᄒᆞ돗던가”로 시작하여 급작스럽게 전란을 당한 황황한 마음을 표현하였다.

이어서 임진왜란 초기 각처에서 창의한 의병들의 이름을 열거하면서 그 충렬을 흠모하고, 이들이 왜적에게 짓밟혀 빼앗겼던 땅을 회복함을 기뻐하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꾸밈없는 질박한 어휘로 우국애민의 충정을 곡진하게 잘 표현한 작품이다.

의의와 평가

「명월음」이 구름에 가려진 달을 바라보는 안타까운 심정을 노래한 서정적 작품인 데 반하여, 이 작품은 전란의 와중에서 어지러운 현실을 바라보는 비분강개가 잘 나타나 있다. 박인로(朴仁老)의 여러 가사와 함께 임진왜란을 소재로 한 가사라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인재문집(訒齋文集)』
「인재가사고(訒齋歌辭攷)」(홍재휴, 『김사엽박사송수기념논집, 1970)
「인재가사연구(訒齋歌辭硏究)」(이동영, 『어문학』 5, 한국어문학회, 1959)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