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활지황탕 ()

목차
관련 정보
의약학
개념
소양인 체질을 가진 사람의 중풍 · 토혈 등 증세 치료에 사용하는 처방.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소양인 체질을 가진 사람의 중풍 · 토혈 등 증세 치료에 사용하는 처방.
내용

1894년(고종 31) 이제마(李濟馬)가 지은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의 소양인위수열이열병론(少陽人胃受熱裡熱病論)에 나와 있다.

소양인의 중풍 · 토혈 · 구토 · 식체(食滯) · 비만 다섯 가지의 증세는 소양인이 가진 체질적인 특성인 청양(淸陽)이 제대로 상승하지 못하여 오는 것이다.

또, 부종(浮腫) · 천촉(喘促) · 결흉(結胸) · 이질(痢疾) · 한열왕래(寒熱往來) · 흉협만(胸脇滿) 등의 증세는 역시 체질적 특성에서 오는 표음(表陰)이 울체되어 제대로 하강하지 못한 데서 발생하는 증후로 보았다.

이 독활지황탕은 청양을 상승시켜 줄 목적으로 쓰는 처방으로, 이제까지의 지황탕류(地黃湯類)의 처방들이 일반적으로 사용된 의도와는 다소 차이를 보인다.

이제마가 이 처방을 쓰는 의도는 단지 보신수(補腎水)라는 의미를 떠나 음양이 모두 약하기 때문에 청양이 상승하지 못하여 병증이 난 것으로 보고 이를 보완함으로써 청양을 상통하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처방은 숙지황(熟地黃) 15g, 산수유(山茱萸) 7.5g, 복령(茯苓) · 택사(澤瀉) 각 5.625g, 목단피(牧丹皮) · 방풍(防風) · 독활(獨活) 각 3.75g으로 되어 있다.

적응증은 소양인의 졸중풍(卒中風) · 중부(中腑) · 구안와사(口眼喎斜) · 탄탄(瘓癱 · 골증(骨蒸) · 음허오열(陰虛午熱) · 식체 · 비만 · 학질 · 토혈 · 자한(自汗) · 도한(盜汗) · 각기(脚氣) · 학슬풍(鶴膝風) 등이 있다.

군약(君藥)을 이루고 있는 숙지황은 자음(滋陰) · 전정(塡精) · 보수(補髓)의 작용이 있으므로 생명의 근원인 수기(水氣)를 보호하도록 한 것이다. 여기에 보양(補陽)하는 산수유로써 원양(元陽)을 흩어지지 않도록 하고 삼습이뇨(渗濕利尿)의 작용이 있는 복령과 택사로 하초습열(下焦濕熱)을 제거하여 승양(升陽)작용을 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든다.

또한, 사화(邪火)를 제거하고 혈맥을 통하게 하는 목단피, 풍사(風邪)를 제거하는 방풍과 독활을 더하여 처방을 완성하여 음양이 균형을 잡도록 한 것이다.

참고문헌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
『사상원론(四象原論)』(송일병,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1978)
『동의수세보원주석(東醫壽世保元註釋)』(한동석, 성리회출판사, 1967)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