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암장 ()

목차
관련 정보
서울 돈암장 정면
서울 돈암장 정면
정치
유적
서울특별시 성북구에 있는 우남 이승만 관련 주택. 사저 · 저택.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서울특별시 성북구에 있는 우남 이승만 관련 주택. 사저 · 저택.
내용

1945년 이승만(李承晩)이 환국하여 처음 기거했던 사저(私邸)로 당시 서울시 돈암동 인근에 있다 하여 ‘돈암장’이라 하였다. 이 집은 당시 조선타이어주식회사 사장이었던 장진영(張震英)으로부터 빌린 집으로서, 장진영은 연건평 약 150평의 3채 중 1채만을 쓰고, 안채인 54평과 또다른 1채를 빌려주었다.

약 700평의 정원에 뛰어난 미관(美觀)을 지녔다. 장진영은 6·25사변 때 납치되어 죽었고, 돈암장은 서울특별시 성북구 동소문동 4가 103번지의 1호 및 2호로 분할되어 1986년 현재 문화재(현, 국가유산)로 지정받지 않은 채 3명의 소유자에게 나뉘어 있다. 이승만은 환국 후 조선호텔에서 며칠을 묵고 경비과중으로 이 집을 찾았다.

이 곳에서는 윤치영(尹致暎 : 비서실장) · 이기붕(李起鵬 : 서무담당) · 윤석오(尹錫五 : 문서담당) · 송필만(宋必滿 : 비서) 등이 보필하였고, 와병 중에는 임영신(任永信)이 간병하였다. 이승만은 돈암장에서 미군정청으로부터 추대되었던 민주의원 의장직을 버리고, 공산계열의 민주주의 민족전선과 대결을 하면서 신탁통치반대운동에 열중하였다.

극도의 혼란이 거듭되는 가운데 이승만은 장진영으로부터 집을 비워달라는 통고를 받았고, 이 소식을 들은 미조선주둔군사령관인 하지(Hodge,j. R.)중장의 주선으로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 정무총감 다나카(田中)가 쓰던 마포장(麻浦莊)을 얻어 이사하였다.

참고문헌

『경무대비화』(박용만, 삼국문화사, 1965)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