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계유고 ()

목차
관련 정보
송회석의 동계유고 중 표지
송회석의 동계유고 중 표지
유교
문헌
조선시대 때의 학자, 송회석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9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때의 학자, 송회석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9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2권 1책. 연활자본. 1929년 후손 병엽(秉熀)과 규헌(奎憲)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서문은 없고 권말에 규헌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 국립중앙도서관, 한국학중앙연구원 등에 있다.

권두에 총목(總目)이 있고, 각 권별로 목록이 있다. 상·하권으로 되어 있는데 권상은 부(賦) 1편, 시 61수, 서(書) 12편, 기(記) 1편, 제문 2편, 권하는 부록으로 묘표·행장·묘지명·제문·애사·만사·기술(記述)·발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부의 「화감춘부(和感春賦)」에는 할아버지가 유배되어 환난을 당한 데 대한 비애가 섞여 있다. 시는 칠언으로 된 절구와 율시 및 오언율시의 형식이 대부분이며, 격정과 비탄의 서정적인 시가 많다. 「도비산탄(渡飛山灘)」은 시어의 운치와 감흥이 높으며, 「단장성(斷腸聲)」에서는 막막한 고독과 애타는 열정을 표현하고 있다. 또한 시에는 할아버지의 시를 차운한 것이 많다.

서(書)는 대개 가까운 친지들과의 안부편지이다. 기의 「몽유풍악기(夢遊楓嶽記)」는 고성온천이 병자를 고친다는 이야기를 듣고 할아버지와 함께 그곳 여관에 유숙하는 동안 꿈속에서 금강산을 유람했다는 상상 속의 기행문이다.

부록의 만사는 박세채(朴世采)·권상하(權尙夏)·김창흡(金昌翕)·이이명(李頤命)·정호(鄭澔)·김수항(金壽恒) 등 송시열 문하의 명사들이 쓴 것이 대부분이며, 묘표는 송시열이 직접 쓴 것이다. 맨 끝의 「기술」은 이재(李縡) 등이 저자에 관한 기록을 뽑아 수록한 것이다.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이민식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