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방교 ()

목차
관련 정보
개신교
단체
노광공(盧光公)을 교조로 하여 창시된 기독교계 신종교.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동방교는 노광공(盧光公)을 교조로 하여 창시된 기독교계 신종교이다. 대한예수교가정예배소, 밀알복음전도회, 이레교, 이레할아버지교, 참길교라고도 한다. 노광공이 1956년에 동방교를 조직했다. 노광공은 ‘여호와이래하나님’이고 인간들은 그에게 절대복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1969년 3대 교주 노영구가 ‘기독교대한개혁장로회’라는 명칭으로 인가를 받았으나 기성 기독교계의 반발로 인가가 취소되었다. 1973년 신도들에 의해 동방교의 내막이 폭로되면서 교주가 지명수배되고 교세는 급격히 약화되었다. 현재는 지하에 잠적한 상태이다.

목차
정의
노광공(盧光公)을 교조로 하여 창시된 기독교계 신종교.
내용

동방교라는 명칭 외에도 대한예수교가정예배소 · 밀알복음전도회 · 이레교 · 이레할아버지교 · 참길교 등으로도 불린다.

노광공은 1914년 평양 출신으로, 일제강점기에는 일본경찰의 순사부장을 지냈으며, 광복 후 월남하여 경상북도 안동에서 교편을 잡기도 하였다.

그러다가 재혼한 처가 집사임을 기화로 목사로 자칭하고 1953년 한국복음동지회라는 부흥단체를 조직한 뒤, 1956년에는 동방교라는 교단을 조직했다.

부흥회를 통해 질병을 치유하고 죽은 자를 부활시킨다는 소문이 나자, 기존 교회에서 이탈한 신도들이 대거 몰려와 교단은 급속도로 발전했다.

그러나 1959년 노광공이 미성년자 간음혐의로 구속되는 등 사회적 물의를 일으켰고, 시한부종말론을 주장하여 1965년 8월 15일을 비롯하여 여러 번 심판의 날짜를 발표하기도 하였다. 그러다가 1967년 노광공의 사망으로 교단 내 노장파와 소장파간의 분열이 나타났다.

1968년 2대 교주 양학식으로부터 교권을 이어받은 3대 교주 노영구가 내분을 수습하고 교단의 면모를 쇄신하고자 1969년 문화공보부로부터 ‘기독교대한개혁장로회’라는 교단명칭으로 재단법인 인가를 받았다.

동방교가 기독교계통의 교단명칭을 사용하자, 기성 기독교계에서는 동방교대책위원회를 구성하고 문화공보부에 재단법인 인가취소를 요청하였으며, 1978년 3월 대법원 판결로 인가취소가 확정되었다.

동방교의 교리는 『성경』 이외에도 노광공의 설교집인 『경화록(慶和錄)』에 근거한다. 이에 따르면, 노광공은 말세의 사명자이며 최후의 심판자로 여겨진다.

그리고 노광공은 ‘여호와이래하나님’이라고 믿어지는데, 여기서 이래(二來)란 구약에 나오는 이삭이 번제의 제물로 끌려갔던 장소의 이름으로, 하나님이 말세까지 숨겨두었던 종이라는 뜻을 갖고 있다. 인간은 구원받기 위해 예수만을 믿으면 안 되고, 두번째 구원자로 온 여호와이래의 명령에 절대 복종해야 한다.

또 신도가 성민(聖民)이 되려면 연단생활, 즉 수도생활을 해야 하는데, 여기서의 수도생활이란 주로 행상을 하며 치성금을 상납하는 활동을 말한다.

교단의 조직은 교주―이래목사―전도사―사주(四柱)―부주(副柱)―장로―권사―영수(領袖)―집사―평성민(平聖民)―일반인의 11계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독교의 십계명보다는 독자적으로 만든 지침이나 지조 등이 훨씬 강력한 계율로 간주된다. ‘성민의 3대 지침’, ‘성민의 4대 지조’, ‘여호와이래 3대 서약’, ‘성민의 4대 훈령’, ‘정도 5령’ 등의 윤리지침이나 신조들은 한국전통신앙적 요소가 상당히 포함되어 있고, 선민의식과 명령복종의 항목이 많이 보인다.

신자들은 부인과 청소년들이 대부분이었으며, 이들의 치성금으로 부동산을 구입, 조일택시 · 태평운수 · 청해출판사 등을 경영하였다.

한 때 교세가 수천 명에 달하고 교단의 재산도 약 30억 원에 이르렀으나, 1973년 150여 명의 이탈신도들이 동방교의 내막을 폭로하면서 사회문제로 부각되어 교주가 지명수배되고 간부들이 구속되자 교세는 급격히 약화되기 시작하였다.

1978년 대법원 판결로 재단법인 인가취소가 확정되었어도 계속 포교활동을 하였는데, 1980년 당시의 교세는 교회 45개소, 교직자 45명, 신도 1,870명이었으나, 현재는 지하에 잠적해 있는 상태이다.

참고문헌

『한국신종교실태조사보고서』(김홍철 외,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1997)
『한국신종교조사연구보고서』(한국종교연구회, 1996)
『한국의 신흥종교』-기독교편-(탁명환, 국종출판사, 1973)
『한국신흥 및 유사종교 실태조사보고서』(문화공보부, 1970)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