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인지문 ()

한문학
문헌
고려후기 문인 최해가 신라 최치원에서 고려 충렬왕 때까지 명가의 시문을 모아 간행한 시문선집.
정의
고려후기 문인 최해가 신라 최치원에서 고려 충렬왕 때까지 명가의 시문을 모아 간행한 시문선집.
서지적 사항

목판본. 『동인지문오칠(東人之文五七)』 9권, 『천백(千百)』 1권, 『사륙(四六)』 15권, 합 25권.

내용

『동인지문』의 편찬 연대 등을 알아볼 수 있는 자료로는 최해의 문집인 『졸고천백(拙藁千百)』에 수록되어 있는 「동인지문서(東人之文序)」와 「동인사륙서(東人四六序)」, 그리고 이곡(李穀)이 쓴 「최군묘지(崔君墓誌)」 등이다.

「동인지문서」에 의하면, “내가 원나라 과거에 급제하였을 때 원나라 선비들이 우리 나라 시문을 보기를 원하였으나, 내가 시문선집이 없어 부응하지 못하여 수치를 느꼈다.”라고 편찬 동기를 적고 이어서 “신라 최고운에서 충렬왕 때까지 명가로부터 시 약간 수를 얻어 ‘오칠(五七)’이라 제명하고, 문 약간 수를 얻어 ‘천백(千百)’이라 제명하고 변려문(騈儢文) 약간 수를 얻어 ‘사륙(四六)’이라 제명하고, 총괄하여 ‘동인지문’이라 제명하였다.” 하여 그 편제를 밝혔다.

「동인사륙서」에서는 “후지원(後至元) 무인(1338) 여름에 내가 「동문사륙」의 편집을 마쳤다.” 하여 사륙의 편집 시기를 밝혔다. 그리고 이곡의 「최군묘지」에는 “본국 명현의 저술을 찬집하고 그 제명을 ‘동인지문’이라 하였는데, 모두 25권이다.” 하였다.

이를 미루어 보면, 『동인지문』의 편차는 오칠·천백·사륙의 순으로 구성되었고, 총 권수는 25권이며, 또한 그 편찬 시기는 1331년(충혜왕 복위 1)에서 1338년(충숙왕 복위 7)까지임을 알 수 있다.

『동인지문』의 권차(수)는 동인지문사륙(보물, 1981년 지정)과 동인지문오칠 권7~9(보물, 1991년 지정)에서 확인되었다. 사륙은 소장처는 각각 다르나 전질 15권이 밝혀졌고, 오칠은 권 7∼9의 잔본이기는 하나 전질 9권임이 확인되었으며, 나머지 1권은 천백으로 추정된다. 사륙은 고려대하교 도서관 소장본과 이겸로(李謙魯) 소장본이 보물로 지정되었다.

고려대학교 소장본은 12권 4책(권1∼6, 10∼15), 6권 2책(권1∼6), 3권 1책(10∼12), 3권 1책(권7∼9)이 모두 1981년 보물로 지정되었으며, 이겸로 소장본 3권 1책(권13∼15)도 1981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보물로 지정된 동인지문사륙 복주판(福州板)은 고려대학교 소장 권1~3·4~6·10~12·13~15, 권1~6, 권7~9(보물, 1981년 지정),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권10~12(보물, 1981년 지정), 현담문고 소장 권13~15(보물, 1981년 지정), 계명대학교 소장 권7~9(보물, 2001년 지정)이다. 이 중 고려대학교 소장본인 권12와 권15의 끝에 “지정(至正) 15년 을미(1355) 복주(福州) 개판(開板)”이라는 간기가 있어 그 간행지(刊行地)가 확인되었으며, 따라서 판각도 1355년(공민왕 4)에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고려대학교 소장 권7~9(보물, 1981년 지정)는 진주판인데, 권7의 마지막에 “진주목 개판(晉州牧開板)”이란 간기가 있어 그 간행지가 확인되었다. 복주판과는 판식이 다소 다르며 간기가 없어 확인할 길이 없다. 단 동인지문 편자 최해의 문집 『졸고천백』 간기를 보면 “지정 14년 갑오(1354) 진주(晉州) 개판(開板)”이란 간기가 있고, 이어서 관여한 사람의 관직, 각수(刻手)등이 열기(列記)되었으며, 판식이 이 책과 일치한 점으로 미루어 볼 때 『졸고천백』을 개판할 때에 같은 사람의 손에 의하여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간년은 1354년이나 그 다음해인 1355년 경으로 추정된다.

의의와 평가

『동인지문』은 우리나라에서 현재 전존(傳存)하는 것으로는 최초의 시문선집이다. ‘사륙’은 소장처는 다르나 전질 15권이 나타났고 ‘오칠’은 3권 1책(권7∼9)이 나타나 그 편집 체재만이라도 알 수 있으나 ‘천백’은 아직 나타나지 않고 있다. 그러나 이미 나타난 사륙과 오칠에서 시문학 및 서지학 연구에 귀중한 자료임은 물론이려니와, ‘오칠’ 제목 아래의 각 인물의 소전(小傳)은 전기 자료로서의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동인지문사륙, 동인지문오칠

참고문헌

『졸고천백(拙藁千百)』(최해)
『가정집(稼亭集)』(이곡)
『문화재대관』(한국문화재보호헙회 편, 태학당, 1991)
집필자
이정섭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