졸고천백 ()

졸고천백
졸고천백
한문학
문헌
고려 후기의 문신, 최해의 서(序) · 기 · 후제 · 행장 등을 수록한 문집.
정의
고려 후기의 문신, 최해의 서(序) · 기 · 후제 · 행장 등을 수록한 문집.
서지적 사항

2권. 1354년(공민왕 3) 진주목(晋州牧)에서 개판(開版)되었다. 현재 우리나라에는 전하는 것은 없고 일본 존경각문고(尊經閣文庫)에 수장되어 있는 고려판이 유일본이다. 1930년 일본의 육덕재단(育德財團)에서 존경각의 전적 가운데에서 선본(善本)을 가려 영인본을 간행할 때에 『졸고천백』도 영인되어 현재 규장각 도서에 있다.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에서 간행한 『고려명현집(高麗明賢集)』 2집과 민족문화추진회(현 한국고전번역원)에서 간행한 『한국문집총간』 3집에 영인되어 있다. 한국고전번역원에서 2006년에 번역하였다.

내용

『졸고천백』에는 45편의 산문이 시대순으로 수록되어 있다. 권1은 서(序) 6편, 기(記) 4편, 후제(後題) 2편, 발 1편, 묘지 3편, 묘지명 4편, 문책(問策) 1편, 권2는 서 5편, 묘지 9편, 행장 1편, 서(書) 3편, 제문 1편, 영혼사(迎魂辭) 2편, 비문 1편, 전(傳) 1편이 수록되어 있다. 『동문선』에는 이 중 32편이 수록되어 있을 뿐이다.

최해가 편찬한 『동인지문(東人之文)』의 자서(自序)인 「동인지문서」에 따르면, 시 약간수를 오칠(五七), 문 약간수를 천백(千百), 변려문(騈儷文) 약간수를 사륙(四六)이라 하였다. 『졸고천백』의 ‘천백’도 바로 이 문을 두고 한 이름이다. 이 책에는 한편의 시도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동문선』에 약 30수가 뽑혀 있으므로 최해의 다른 저작집이 당대에 간행된 듯하다.

최해의 저술로는 이외에도 『예산농은졸고(猊山農隱拙藁)』·『귀감(龜鑑)』·『예산선집(猊山選集)』 등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까지 전하고 있는 것은 이 문집과 『동인지문사륙(東人之文四六)』·『동인지문오칠(東人之文五七)』뿐이다. 『동인지문』 25권은 전질이 전하지 않는다. 그러나 김태현(金台鉉)의 『동국문감(東國文鑑)』과 더불어 우리나라 시문의 선발 책자로서 선구적이다.

최해가 비점을 한 『삼한시귀감』은 우리나라 시선집으로서는 최초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삼한시귀감』의 시편 중에는 「현재설야(縣齋雪夜)」와 같은 명작이 있다. 편서에서는 문장의 체재와 품격을 절실하게 파악하는 높은 감식력을 보여주고 있다.

의의와 평가

『졸고천백』에는 우리나라 한문학이 고려를 거쳐 조선시대에 넘어오는 과도기적 상황을 재현시켜 놓았다. 그 중에서도 「해동후기로회서(海東後耆老會序)」·「동인지문서」·「동인사륙서(東人四六序)」 등은 문학사에서 주목해야 할 글들이다.

참고문헌

『용재총화(慵齋叢話)』
『고려명현집 2』(성균관대학교대동문화연구원, 1973)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민병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