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정송강묘유감 ()

한문학
작품
조선 중기에 권필(權韠)이 지은 한시.
정의
조선 중기에 권필(權韠)이 지은 한시.
구성 및 형식

칠언절구로 작자의 문집 『석주집(石洲集)』에 전한다. 정철(鄭澈)의 무덤에서 그의 풍류를 아쉬워하며 지은 작품이다.

내용

시의 내용은 “빈 산엔 낙엽 지고 비마저 뿌려대니/ 풍류 높던 재상께선 여기 묻혀 쓸쓸해라./ 애닯도다, 한 잔 술을 또 올리기 어렵기에/ 예년의 노랫가락 오늘 아침 불러 보네.”이다.

이 작품에서 ‘가곡’이란 정철의 사설시조(가사라고도 함.) 「장진주사(將進酒辭)」를 가리킨 것이다. 이 「과정송강묘유감」은 널리 회자(膾炙)되어 이를 그대로 번안한 시조, 곧 “空山木落雨蕭蕭(공산목락우소소)ᄒᆞᆫ듸 相國風流(상국풍류)ㅣ 此寂寥(차적요)라/슬프다 ᄒᆞᆫ盞(잔)술을 다시 勸(권)키도 얼여왜라/어즙어 昔年歌曲(석년가곡)이 卽今朝(즉금조)인가 ᄒᆞ노라”도 전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진주사(進酒辭) 계열에 속하는 한시들은 대체로 이백(李白)의 악부시(樂府詩) 「장진주(將進酒)」의 영향을 받은 것이 많거니와, 이 작품에서 가장 높은 평가를 받은 것은 “昔年歌曲 卽今朝(석년가곡 즉금조)”이다. 이밖에 정철의 풍류를 회억(懷憶)하여 지은 노래로 이안눌(李安訥)의 「문가(聞歌)」가 있다.

참고문헌

『석주집(石洲集)』
집필자
민병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