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 ()

기아
기아
한문학
문헌
조선후기 문신 · 학자 남용익이 신라말에서부터 조선 현종 때까지 497가(家)의 각체시를 뽑아 1688년에 간행한 시선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후기 문신 · 학자 남용익이 신라말에서부터 조선 현종 때까지 497가(家)의 각체시를 뽑아 1688년에 간행한 시선집.
서지적 사항

14권 7책. 동활자본.

내용

‘기아’는 조선의 바른 시가(詩歌)라는 뜻이다. 남용익이 대제학의 자리에 있을 때에 간행한 책이다. ≪국조시산 國朝詩刪≫ 이후에 조선 후기에 널리 읽힌 시집이다.

≪기아≫는 권두에 1688년에 쓴 편찬자의 서문이 실려 있다. 신라 말의 최치원(崔致遠)·최승우(崔承祐)에서부터 조선 현종 때의 김석주(金錫胄)·신정(申晸) 등에 이르기까지 497가(家)의 각체시(各體詩)를 선집하였다.

1688년에 운각(芸閣)의 필서체자(筆書體字)로 간행하였다. ≪기아≫의 서문 및 호곡집(권15)의 ‘무자제석만기(戊子除夕謾記)’에 “운각에서 주조한 활자를 여기에서 처음으로 사용하여 인쇄하고 배포하였다.”라는 기록이 있다. 그러므로 이 운각활자가 ≪기아≫를 간행할 때에 처음으로 사용된 것을 알 수 있다.

≪기아≫의 서문에 따르면, 이 책의 편성에 기본자료가 된 것은 ≪동문선≫·≪청구풍아 靑丘風雅≫·≪국조시산≫ 등인데, ≪동문선≫은 박이부정(博而不精)하고 그 속편은 실린 시편이 별로 많지 않으며, ≪청구풍아≫는 정이불박(精而不博)하고 그 속편은 근거가 분명하지 않으며, ≪국조시산≫은 자세하기는 하나 조선 초기부터 선조 때까지로 한정된 것이어서 수미(首尾)가 완비되지 못한 흠이 있기 때문에 이 세 권 중에서 번다한 것은 깎고 소략한 것은 보태었으며 ≪국조시산≫ 이후의 것은 명가의 시문집 중에서 후세에 전할 만한 것을 취했다고 하였다.

≪기아≫의 구성은 권1에 오언절구, 권2∼4에 칠언절구, 권5·6에 오언율시, 권7∼10에 칠언율시, 권11에 오언배율·칠언배율, 권12에 오언고시, 권13·14에 칠언고시를 싣고 부록을 붙였다.

≪기아≫의 체재는 ≪당시품휘 唐詩品彙≫의 예에 따라 우사(羽士 : 道士)·납자(衲子 : 승려)·규수·잡류(雜流)·무명씨의 작품은 각 시체의 끝에 덧붙였다. 불성씨(不姓氏) 3인은 책 끝에 부록하고 있다., 이들은 모두 모역의 혐의로 죽었기 때문에 그 이름만 쓰고 성은 붙이지 않은 것이다.

≪기아≫는 전체적으로 ≪청구풍아≫나 ≪동문선≫에 비해 고시와 배율이 금체(今體)의 율시보다 상대적으로 적다. 그리고 잡체시(雜體詩)는 전혀 고려되지 않고 있다. 남용익은 이 책에서 편찬자의 취향이나 편견에 사로잡히기 쉬운 선시자(選詩者)가 아닌 시대의 풍상과 시가(詩家)의 소장(所長)을 사실 그대로 인정한 편집자로서의 임무에 충실하고 있는 느낌을 준다.

의의와 평가

≪기아≫는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시선집으로서 귀중한 자료적 가치가 있다. 1980년 아세아문화사에서 ≪한국한시총서≫ 제2권으로 영인하고 간행하였다.

참고문헌

『기아해제(箕雅解題)』(민병수, 아세아문화사, 1980)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