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구풍아 ()

목차
관련 정보
문경 정동윤 고서 / 청구풍아 표지
문경 정동윤 고서 / 청구풍아 표지
한문학
문헌
국가유산
조선전기 문신 · 학자 김종직이 신라 말에서 조선 초에 이르는 126인의 한시 517수를 수록한 시선집.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청구풍아(靑丘風雅)
분류
기록유산/전적류/목판본/사간본
지정기관
대전광역시
종목
대전광역시 문화유산자료(1989년 03월 18일 지정)
소재지
대전광역시 유성구 도안대로 398 (상대동, 대전시립박물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전기 문신 · 학자 김종직이 신라 말에서 조선 초에 이르는 126인의 한시 517수를 수록한 시선집.
개설

7권 1책. 신라 말에서 조선 초에 이르는 126인의 한시 517수를 정선하여 실었다. 험벽(險僻)한 고사를 사용한 곳에는 그 본실(本實)을 간략하게 주로써 밝혔으며, 미심하고 난해한 어구에 대해서는 편자의 비평과 풀이를 붙이고 있다.

내용

권수에 ‘제현성씨사략(諸賢姓氏事略)’을 붙이고 있으며 신라, 고려, 본조로 나누어 시인들의 약력을 간단히 소개했다. 수록된 편수는 다음과 같다. 권1은 오언고시 50수, 권2는 칠언고시 40수, 권3은 오언율시 76수, 배율 8수, 권4는 칠언율시 55수, 권5는 칠언율시 51수, 배율 3수, 권6은 오언절구 35수, 칠언절구 86수, 권7은 칠언절구 99수가 실렸는데 99수를 해설과 함께 싣고 최숙정의 발문을 실었다. 서문에 의하면 최해의 「동인지문(東人之文)」, 조운흘의 「삼한시귀감(三韓詩龜鑑」, 변계량의 미완성 선집을 기본으로 하여 시를 뽑았다고 한다.

현존하는 책으로는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갑진자본(甲辰字本)을 비롯하여 수종의 필사본이 있으나 갑진자본은 글자가 선명치 않고 훼손된 부분이 많으며 여타의 필사본들(고려대학교본 등)도 완전하게 보존된 것을 볼 수가 없다. 간행시기는 갑진자본에 있는 편자의 서문(성종 4년, 1473)과 최숙정(崔淑精)의 발문(성종 6년)에 따라 일단 성종 초로 추정할 수 있을 뿐이다.

그러나 현존 갑진자본만 가지고 본다면 이 책은 성종 15년 갑진자의 초주(初鑄) 이후에 간행된 것이 된다. 뿐만 아니라 이 갑진자본은 활자가 마멸된 것이 많고 간간이 다른 활자도 충용되고 있어 실제 이것이 간행된 시기는 성종 15년보다 훨씬 뒤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의의와 평가

시만 따로 초선한 시선집의 사찬작업은 이미 고려 말에 있었는데, 이 책도 이러한 토대 위에서 이룩된 초기성과 중의 하나라 할 수 있다. 1980년 아세아문화사에서 『국조시산(國朝詩刪)』과 합본하여 『한국한시총서』로 영인 간행하였다. 국립중앙도서관과 서울대학교 도서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