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포 ()

선사문화
유물
청동기시대 단추와 비슷한 모양으로서 굽은 뒷면에 고리를 만들어 다른 물체에 부착할 수 있게 한 청동제 장신구.
이칭
이칭
동구(銅口)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청동기시대 단추와 비슷한 모양으로서 굽은 뒷면에 고리를 만들어 다른 물체에 부착할 수 있게 한 청동제 장신구.
내용

‘동구(銅口)’라고 불리기도 한다. 청동기시대 전기의 유적에서 주로 발견되었고, 지름 2∼5㎝로서 대체로 둥근 표면의 가장자리에 빗금을 그은 것이 많다.

이러한 동포는 시베리아 카라수크(Karasuk)문화기의 유적이나 내몽고 오르도스(Ordos)지방, 길림(吉林)지방, 랴오닝성(遼寧省) 유적 등에서 발견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평안북도 강계군 풍룡리와 용천군 신암리, 황해도 봉산군 신흥리, 그리고 함경북도 나진 초도(草島)에서 발견되었다.

신암리에서는 청동손칼[靑銅刀子]도 함께 출토되었다. 그리고 함경북도 종성군 삼봉리에서는 거푸집이 발견되었다.

동포의 용도에 대해서는 랴오닝지방 심양(瀋陽) 정가와자(鄭家窪子)무덤유적의 자료가 중요한 사실을 제공해주고 있다. 이 무덤의 널[棺] 안에서 발견된 노인남자 유골의 다리·발 뼈 주위에서 지름 2㎝ 내외의 동포가 180개 나왔다. 뼈와 동포 사이에는 흑색유기질 부식물이 한 겹 있는 점으로 보아, 가죽장화의 표면에 붙었던 장식임을 알 수 있다.

한편, 비슷한 단추모양은 낙랑고분과 경상북도 영천군 어은동에서 많이 발견되었다. 어은동의 것은 지름 2.5㎝ 내외로 불룩한 바깥면에 와선문(渦線紋) 등이 장식되어 있어 특이하며, 원형 단추모양 이외에 사각형과 타원형도 있다. 이것도 동포라 할 수 있는데, 역시 의복과 장화 등에 부착하는 장식임이 틀림없다고 생각된다.

의의와 평가

따라서 동포는 사용분포지역이 넓었을 뿐만 아니라 사용시기도 청동기시대 초기에서 서기 전후에 이르는 장기간에 걸쳤던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한국청동유물의 연구」(윤무병, 『충남대학교 인문과학논문집』Ⅱ-3, 1975)
「토기와 청동기」(한병삼, 『교양국사총서』8, 1974)
집필자
이청규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