뚜껑모양 동기 (뚜껑 )

목차
선사문화
유물
청동그릇의 뚜껑처럼 둥글고 한 편이 오목하게 생긴 청동기시대의 의기(儀器).
이칭
이칭
원개형동기
목차
정의
청동그릇의 뚜껑처럼 둥글고 한 편이 오목하게 생긴 청동기시대의 의기(儀器).
개설

‘원개형동기(圓蓋形銅器)’라고도 한다. 이 청동유물이 한반도 내에서 발견된 곳은 청동기시대 후기 유적인 대전광역시 괴정동과 충청남도 예산군 동서리 돌덧널무덤〔石槨墓〕유적 두 곳뿐이다.

두 점이 모두 지름 21㎝ 크기로 원형그릇의 뚜껑처럼 생겼으며, 불룩한 바깥면에 한 쪽으로 치우쳐 고리를 만들어 매달 수 있게 되었다.

두 유적은 동일한 형식의 분묘유적일 뿐만 아니라 세형동검 거친무늬거울〔粗文鏡〕, 삼각형간돌살촉〔三角形磨製石鏃〕, 흑색목항아리〔黑色長頸壺〕가 공통적으로 껴묻혀 있었다. 따라서 여기서 출토된 뚜껑모양동기도 거의 비슷한 시기의 동일집단의 소산으로 생각된다.

내용

이 뚜껑모양동기의 용도는 아직 확실하지 않다. 이에 대한 견해로는 고리가 달리지 않은 안쪽이 잘 마연되어 반들거리므로 햇빛의 초점을 모아 불을 일으키는 양수(陽燧)로 생각하는 설이 있다.

또한 오늘날 만주·몽고민족의 무당들이 수십 개의 방울·거울·조개 등을 달아서 소리가 요란하게 나는 신의(神衣)를 입고 춤춘다는 사실에서, 손에 들고 두드려 소리를 내게 하는 도구라는 설도 있다. 무당역할을 겸했던 당시의 지배자가 패용하거나 종교적 혹은 주술적 의식에 쓰이던 신구(神具)임에는 틀림이 없다.

이와 비슷한 뚜껑모양동기는 요령성(遼寧省) 심양(瀋陽) 정가와자(鄭家窪子) 무덤에서 발견되었다. 큰 것 4점과 작은 것 4점이 나왔다.

큰 것 중 최대의 것은 지름이 32㎝ 정도이다. 역시 불룩한 겉면에 가운데에서 약간 벗어나 고리가 달려 있다. 새끼줄모양의 동제 고리가 매달려 있고 나무편을 끼웠던 흔적이 보인다.

이 정가와자 유적은 비파형동검(琵琶形銅劍)을 껴묻은 전기 유적이라는 점만이 다를 뿐 분묘형식·흑색목항아리 및 각종 의기(儀器) 등이 대전 괴정동, 예산 동서리를 포함한 충청남도지방의 세형동검관계 유적과 공통되는 점이 많아 서로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연대는 대체로 전자 유적은 서기전 5, 4세기경, 후자는 서기전 4, 3세기경으로 알려져 있다.

참고문헌

『토기와 청동기』-교양국사총서 8-(한병삼,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74)
「예산동서리석관묘출토청동일괄유물(禮山東西里石棺墓出土靑銅一括遺物)」(지건길, 『백제연구(百濟硏究)』 9, 충남대학교백제연구소, 1979)
「심양정가와자(瀋陽鄭家窪子) 청동시대묘(靑銅時代墓)와 부장품(副葬品)」(김원룡, 『동양학(東洋學)』 6, 1976)
「한국청동유물(韓國靑銅遺物)의 연구(硏究)」(윤무병, 『충남대학교인문과학연구소논문집(忠南大學校人文科學硏究所論文集)』 Ⅱ-3, 1975)
집필자
이청규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