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외도동 고인돌 ( 고인돌)

목차
관련 정보
제주 외도 지석묘 2호 정면
제주 외도 지석묘 2호 정면
선사문화
유적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에 있는 철기시대 에 축조된 고인돌. 지석묘.
목차
정의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에 있는 철기시대 에 축조된 고인돌. 지석묘.
내용

1959년 제주도 종합학술조사단의 김철준(金哲埈)에 의해 처음 보고되었다. 제주시 서쪽을 흐르는 외도천(外都川) 이웃의 구릉지대에 있다. 행정구역은 다르지만 인근의 제주시 애월읍 광령리 고인돌과 함께 20여 기가 떼를 이루고 있다.

이 일대의 고인돌은 같은 제주시 한천(漢川)변의 오라동·용담동 일대의 고인돌군처럼 여러 형식이 함께 있다. 그 중에는 남한지방의 고인돌과 같은 형식이 있는가 하면, 제주도 특수형이라고 불러도 좋을 형식도 있다.

받침돌없이 덮개돌만 지상에 노출된 개석식(蓋石式) 고인돌은 남한지방에도 많이 보이지만, 덮개돌이 아치모양을 이루거나 판석형(板石形) 받침돌을 갖는 고인돌은 다른 지방에서는 보기 어려운 것이다.

아치모양의 덮개돌을 가진 고인돌의 경우, 뒤쪽은 받침돌로 고였지만 앞쪽으로는 덮개돌이 들렸으며, 매장부는 지상에 노출되어 있다.

판석형 받침돌을 가진 고인돌의 경우, 용담동 고인돌처럼 10매(枚) 이상의 판석으로 덮개돌 가장자리를 돌아가며 받친 것, 비탈면을 이용해 높은 쪽에 판석을 받친 것 등 여러 가지 모양이 있다. 이 형식 역시 매장부는 대체로 지상에 마련된 것으로 보인다.

출토유물은 주로 토기편으로 받침돌틈과 매장부에 덮인 흙 속에서 나왔다. 제주시 애월읍 곽지리 조개더미 유적에서 출토된 바 있는 적갈색 경질민무늬토기[硬質無文土器]와 김해식 두드림무늬토기가 있다. 이러한 토기의 출토로 보아 연대는 가장 늦은 철기시대로 추정된다. →지석묘

참고문헌

『제주도유적』(제주대학교박물관, 1986)
「제주도지석묘연구」1(이청규, 『탐라문화』4, 1985)
「제주도지석묘조사보고」(김철준, 『서울대학교논문집』9, 1959)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이청규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