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운집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조홍복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98년에 간행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조홍복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98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4권 2책. 목판본. 1898년 후손 병시(秉時)가 편집, 간행하였다. 서문은 없고, 권말에 병시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계명대학교 도서관·연세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1에 시 122수, 권2에 서(書) 29편, 소 1편, 권3에 서(序) 3편, 기 2편, 상량문 4편, 축문 3편, 제문 19편, 권4에 애사 4편, 부록으로 만사 20수, 제문 6편, 행장·묘갈명·유사 각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서(書)는 사우와 친지간에 주고받은 안부편지가 많은데, 그 중 「답이규오별지문목(答李奎五別紙問目)」은 『대학』의 궁리(窮理)·격물(格物)·명명덕(明明德)에 대한 질문에 답변한 것이다.

「석계이선생청시소(石溪李先生請諡疏)」는 영남 유림을 대표해서 올린 것으로, 영남의 대학자이고 국가와 학계에 공헌한 이시명(李時明)의 학행과 공적을 들고 그에게 관작과 시호를 내릴 것을 청한 글이다.

「유신계서(有信契序)」는 학문과 뜻이 맞는 친구들이 모여 유신계를 조직하고, 그것을 만들게 된 동기와 운영방침, 학계와 향당에 기여할 수 있는 행사 등을 구체적으로 규정하였다.

이밖에 집에 가보로 간직해오던 주희(朱熹)의 「무이도(武夷圖)」와 이황(李滉)의 「도산도(陶山圖)」를 소개한 「가장무이도산도병발(家藏武夷陶山圖屛跋)」을 비롯하여 군민을 대표해서 지은 「사직단기우문(社稷壇祈雨文)」이 있다.

집필자
이원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