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와유고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부터 대한제국기까지 생존한 학자, 하지호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2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부터 대한제국기까지 생존한 학자, 하지호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2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4권 1책. 목활자본. 1922년 아들 해조(海朝)에 의하여 편집, 간행되었다. 권두에 권재규(權載奎)의 서문과 권말에 해조의 발문이 있다.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서문에 이어 목록이 있고, 권1에 시 43수, 권2에 서(書) 46편, 권3에 잡저 3편, 서(序) 1편, 제문 5편, 묘지 1편, 행장 3편, 권4는 부록으로 제문 7편, 행록·행장·묘지명·묘표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칠언절구가 대부분으로 증별(贈別)의 시가 많다. 서경시(敍景詩)로는 어적(漁笛)·초가(樵歌) 등의 전원적인 풍경을 읊은 「영모재팔경(永慕齋八景)」이 관심을 끈다.

서(書)의 「상노백헌정선생(上老柏軒鄭先生)」 7편은 정재규(鄭載圭)에게 보낸 것으로 상례(喪禮)·제례(祭禮)에 관한 문목(問目) 등이 보인다. 이밖에 김평묵(金平默)에게 보낸 2편과 최익현(崔益鉉)에게 보낸 4편의 서찰은 모두 안부를 묻는 내용이다.

잡저에는 「음귀록(吟歸錄)」·「서유록(西遊錄)」·「사문어록(師門語錄)」 등이 있는데, 모두 스승을 찾아다니며 기행문 형식으로 견문내용을 기록한 것이다. 이 중 「서유록」은 1890년(고종 27) 포천(抱川)으로 최익현을 찾아갔을 때의 기록으로 상당한 장문이다. 부록의 저자에 대한 묘표는 최익현이 찬(撰)한 것이다.

집필자
이민식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