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암집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이학종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4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이학종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4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2권 1책. 목활자본. 1924년 5대손 진인(鎭仁)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권재규(權載奎)의 서문과 권말에 현손(玄孫) 호규(鎬奎)의 발문이 있다.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서문에 이어 목록이 있고, 권1에 시 90수, 서(書) 11편, 소(疏) 1편, 잡저 1편, 서(序) 1편, 기(記) 2편, 행장 2편, 권2는 부록으로 차운시(次韻詩) 11수와 고성민장(固城民狀)·가장(家狀)·행장·유사·묘표·발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에는 「희제(戱題)」·「책기(責己)」·「유감(有感)」·「책자(責子)」·「자소(自笑)」·「자광(自狂)」·「각비(覺非)」·「가탄(可歎)」·「탄세(嘆世)」 등 그 시제에서도 알 수 있듯이 자신의 갈등·고민을 표현하거나 세태·인심에 대한 비판적 관심을 나타낸 것이 대부분이다. 「송(松)」·「죽(竹)」 등의 영물시도 역시 그 소재의 상징성을 통하여 자신의 양심적 소신을 형상화시키고 있다.

서(書)는 친지와의 안부를 주고받은 것이 대부분이다. 소의 「구시폐소(救時弊疏)」는 주서(注書) 이기정(李基貞)을 대신해서 쓴 것으로 삼정(三政)의 문란과 부국강병책을 자세히 논하였다.

기타 학문적인 논설의 글은 발견되지 않는다. 부록의 「고성민장」은 고성군민이 저자의 효행을 기려 정부에 포상을 건의한 내용이다.

집필자
이민식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