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학군을 진압하다가 전사한 70여 장졸들의 영령을 봉안한 곳으로, 1894년(고종 31) 청주목사 임택호(任澤鎬)가 남석교(南石橋) 밖에 설단(設壇)하고 치제(致祭)하였다.
그 뒤 1903년에 대대장 안종환(安宗煥)이 황제에게 아뢰어 전몰 장교들에 대한 증직이 이루어졌다. 동시에 당산(唐山)에 단을 만들고 모충단이라는 단호(壇號)를 받았으며, 기념비각도 함께 세워졌다.
1914년에는 곽치중(郭致中)·윤영성(尹永成)·김순택(金順澤) 등의 주선으로 모충계가 조직되어 당산에 사당을 세웠다. 전몰일인 음력 10월 3일을 향사일로 정하였다. 하지만 그 후 사당은 여러 번 이전되다가 1975년 현재 위치에 세워졌다.
건물은 목조기와집으로 정면 5칸, 측면 2칸의 팔작집 형태이다. 경내에는 동학군을 진압하는 데 공이 컸던 병마절도사 홍재희(洪在羲)의 영세불망비(永世不忘碑)도 위치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