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기러기 (기러기)

목차
관련 정보
목기러기
목기러기
가족
물품
전통혼례에 사용되는 나무로 만들어 채색한 기러기의 모형물.
이칭
이칭
목안(木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전통혼례에 사용되는 나무로 만들어 채색한 기러기의 모형물.
내용

혼례에 쓰이는 가장 중요한 상징물의 하나이다. 한자어로는 목안(木雁)이라고 한다. 나무로 만든 기러기라 하지만 실제로는 오리모양으로 나무를 깎아 만든 것이다.

신랑 일행이 혼례를 올리러 신부집으로 향할 때, 목기러기를 들고 가는 사람이 있으니 이를 안부(雁夫) 또는 기럭아비라 한다. 신랑이 신부집 안마당에 준비한 초례청(醮禮廳)에 사모관대로 정장을 하고 들어서면 신부집에서는 전안청(奠雁廳)이라 하여 낮은 상 위에 붉은 보를 깔고 뒤에 병풍을 쳐둔다. 신랑이 이곳에 와서 무릎을 꿇고 앉으면 기럭아비가 기러기를 신랑에게 전한다.

신랑은 이것을 받아 상 위에 놓고 이것을 향하여 절을 두 번 한다. 이상과 같은 절차를 전안지례(奠雁之禮)라 한다. 이것은 남자가 부인을 맞아 기러기와 같이 백년해로를 하고 살기를 맹서하는 것이다. 기러기는 암놈과 수놈이 한번 교접하면 평생 동안 다른 것과 교접하지 않고 한 쪽이 죽으면 다른 쪽이 따라 죽는다고 우리나라 사람들은 믿었다. 따라서 전안지례는 혼례 중 가장 중요한 부분이고 남자가 하늘에 부부되기를 맹세하는 의례인 것이다. 전안지례를 소례(小禮)라고도 한다.

전안지례에 이어 거행되는 교배지례(交拜之禮)·합근지례(合卺之禮)를 대례상(大禮床) 앞에서 거행하기 때문에 이 두 의례를 합하여 대례라 한다.

참고문헌

『한국인(韓國人)의 일생(一生)』(이광규, 형설출판사, 1985)
『한국가족제도연구(韓國家族制度硏究)』(김두헌, 서울대학교출판부, 1980)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