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사 ()

조선시대사
제도
고려시대 · 조선시대, 지방의 고을에 설치한 목을 관할하던 정3품의 지방 장관.
이칭
약칭
부사(府事)
내용 요약

목사(牧使)는 고려시대 · 조선시대, 지방의 고을에 설치한 목을 관할하던 정3품의 지방 장관이다. 일반 수령처럼 수령7사를 주임무로 하였으며, 진관의 책임자인 첨절제사를 겸직하였다. 조선시대 전 시기에 걸쳐 일부 조정하였지만 목의 수는 20곳을 유지하였다.

정의
고려시대 · 조선시대, 지방의 고을에 설치한 목을 관할하던 정3품의 지방 장관.
정착 과정

고려시대 지방제도는 주현(主縣)-속현(屬縣)의 복합적인 구조였다. 그렇기 때문에 경(京) · 도호부 · 처럼 규모가 큰 고을에는 판관(判官) · 사록참군사(司錄參軍事) · 장서기(掌書記) · 법조(法曹) · 의사(醫師)라는 속관(屬官)을 파견하여 장관의 통치를 보조하게 하였다.

임무와 직능

일반 수령처럼 수령7사(守令七事)가 목사의 가장 중요한 임무였다. 즉, 농업과 잠업 장려, 호구 증가, 학교 진흥, 주1 정비, 균등한 주3 부과, 간명한 송사 처리, 간사하고 교활한 풍속 교정 등이다.

목으로 설정된 지역은 주2이 풍부하고 인구가 많은 도내의 큰 고을이었기 때문에 뒤의 3조목이 지역 안정을 위하여 더욱 중요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목사도 수령의 군직(軍職)을 겸직한다는 규정에 따라 몇 개 고을로 구성된 진관(鎭管)의 책임자인 주4를 겸직하였다.

제주는 섬이라는 특수성이 반영되어 제주목사가 관찰사를 대신하여 제주에 파견된 관원에 대한 주5를 매겼다. 또한 고려 말에 제주 토호세력이 여러 차례 반란을 일으킨 여파로 제주 목사는 관찰사처럼 장계를 올려 국왕에게 직접 보고할 권한을 부여받았다.

변천 사항

조선시대 목이 설정된 지역은 전 시기에 걸쳐 거의 변동이 없었다. 『경국대전』을 보면, 경기는 광주(廣州) · 여주 · 파주 · 양주 4곳, 충청도는 충주 · 청주 · 공주 · 홍주 4곳, 경상도는 상주 · 진주 · 성주 3곳, 전라도는 나주 · 제주 · 광주(光州) 3곳, 황해도는 황주 · 해주 2곳, 강원도는 원주 1곳, 주6는 없고, 평안도는 안주 · 정주 · 의주 3곳으로 총 20곳이었다.

경기는 1630년(인조 8)에 광주가 부윤으로 승격하면서 3곳으로 줄었고, 전라도는 1632년(인조 10)에 인조의 생모 인헌왕후(仁獻王后) 구씨의 고향이라 하여 능성현(綾城縣)이 능주목(綾州牧)으로 승격되어 4곳으로 늘었다. 함경도는 1467년(세조 13)에 이시애의 난으로 길주목(吉州牧)이 길성현(吉城縣)으로 강등되었다가 1614년(광해군 6)에 목으로 복구되어 1곳으로 늘었다. 평안도는 의주가 선조 때 부윤으로 승격되어 2곳으로 줄었다. 충청 · 경상 · 황해 · 강원도는 변동이 없었다.

참고문헌

원전

『경국대전(經國大典)』
『고려사(高麗史)』
『대전회통(大典會通)』
『속대전(續大典)』

단행본

이수건, 『조선시대 지방행정사』(민음사, 1989)

논문

오수정,「조선 전기 제주 목사의 역할과 권한」(『탐라문화』 62,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2019)
주석
주1

조선 시대에, 삼정(三政) 가운데 정남(丁男)으로부터 군포(軍布)를 받아들이던 일.    우리말샘

주2

그 지방에서 생산되는 물품.    우리말샘

주3

국가나 공공 단체가 특정한 공익사업을 위하여 보수 없이 국민에게 의무적으로 책임을 지우는 노역.    우리말샘

주4

조선 시대에, 각 진영에 둔 종삼품 무관 벼슬. 절도사의 아래로 병마첨절제사, 수군첨절제사가 있으며 목ㆍ부 소재지에는 목사나 부사가 겸임하였다.    우리말샘

주5

군인이나 공무원, 회사원, 학생 따위의 근무 성적이나 태도, 능력 따위를 조사하여 보고함.    우리말샘

주6

조선 시대에, 함경도를 이르던 말. 영길도(永吉道)를 고친 것이다.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