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군 ()

조선시대사
제도
조선 전기, 태종 때 창설한 화기 전문 부대와 성종 때 조직한 국왕 호위 부대의 명칭.
제도/법령·제도
시행 시기
조선 태종 대 | 조선 성종 대
폐지 시기
1410년(태종 10) | 조선 성종 대
주관 부서
군기감
내용 요약

별군은 조선 전기, 태종 때 창설한 화기 전문 부대와 성종 때 조직한 국왕 호위 부대의 명칭이다. 태종 때 등장한 별군은 군기감 소속으로 양인으로 구성되었다. 노역에 동원되면서 전문성이 떨어지자 총통위가 창설되어 별군의 기능을 대신하게 되었고, 지방군 강화책에 따라 정병으로 전환되면서 별군은 소멸하였다. 성종 때 국왕 호위를 강화하고자 군기감 별군과 동일한 명칭의 별군을 국왕 호위 부대로 창설하였다. 성종 때 별군은 상설 부대는 아니었고 국왕이 거둥할 때마다 기병과 보병을 차출하여 호위 부대 역할을 수행하게 하였다.

정의
조선 전기, 태종 때 창설한 화기 전문 부대와 성종 때 조직한 국왕 호위 부대의 명칭.
내용

화기 전문 부대 별군

태종 때 등장한 주1 전문 부대였다. 고려 말에 화기 발명에 힘입어 1378년(우왕 4)에 화통방사군(火㷁放射軍)이라는 화기 전문 부대가 출현하였다. 이 부대는 조선에 들어와 공노비로 구성된 주2으로 개칭되었다. 화통군은 각종 노역에 동원되다가 1410년(태종 10)에 소멸하였는데, 대신 등장한 것이 군기감(軍器監) 소속의 별군이었다.

별군은 화통군과 달리 양인(良人) 중에서 선발하였다. 본래부터 별군역(別軍役)에 동원된 1,000명 정원의 원속(元屬) 별군과 다른 병종에서 옮겨온 이속(移屬) 별군으로 구성되었다. 봉족(奉足)을 지급받고 주3 후에는 군관(軍官)으로 임용되는 등 국가로부터 일정한 대우를 받았다.

그러나 이들 역시 각종 노역에 동원되면서 전문성이 떨어지게 되자, 1445년(세종 27) 총통위(銃筒衛)라는 별도의 화기 전문 부대가 출현하였다. 문종 대 이후 지방군 강화책으로 별군은 주4이 폐지되어 정군(正軍) · 정병(正兵)으로 전환되면서 소멸하였다.

국왕 호위 부대 별군

1489년(성종 20)에 임금이 주5할 때 국왕 호위를 강화할 목적으로 만든 부대였다. 주6이라 불리는 당상관 2명이 이들을 통솔하였다. 별군은 상설 조직이 아니어서 국왕이 거둥할 때마다 기병 100명과 보병 100명을 차출하여 구성하였다.

국왕이 거둥할 때 영별군장 2명이 각각 반씩 거느리고 어가(御駕) 가까이에 위치한 청로대(淸路隊) 바깥에서 호위하였다. 성종 사후 관련 기록이 없는 것으로 보아 성종 때만 존재한 국왕 호위부대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원전

『고려사(高麗史)』
『성종실록(成宗實錄)』
『세종실록(世宗實錄)』
『문종실록(文宗實錄)』
『태종실록(太宗實錄)』

논문

김웅호, 「조선초기 중앙군 운용 연구』(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김일환, 「조선초기 군기감의 무기제조연구」(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0)
주석
주1

화약의 힘으로 탄알을 쏘는 병기.    우리말샘

주2

고려 말기ㆍ조선 초기에, 화통으로 무장한 기술 병종(兵種).    우리말샘

주3

벼슬아치가 임기가 차서 다른 벼슬자리로 옮김. 또는 그 벼슬아치.    우리말샘

주4

지방의 군사를 뽑아서 차례로 서울의 군영으로 보내던 일.    우리말샘

주5

임금의 나들이.    우리말샘

주6

조선 성종(成宗) 때 임금의 시위(侍衞)를 맡은 별군(別軍)을 거느리던 장수. 정3품 당상관으로 임명하였다    바로가기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