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윤 ()

조선시대사
제도
조선시대, 경주 · 전주 등에 두었던 부(府)를 관할하던 종2품의 지방 장관.
이칭
속칭
수령(守令)
제도/관직
설치 시기
조선시대
소속
부(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부윤은 조선시대에 경주 · 전주 등에 두었던 부(府)를 관할하던 종2품의 지방 장관이다. 일반 수령처럼 수령7사(守令七事)를 주임무로 하였으며, 진관(鎭管)의 책임자인 절제사(節制使)를 겸직하였다. 조선시대에 부윤이 설정된 고을은 경주 · 평양 · 전주 · 영흥 · 함흥 · 의주 · 강화 · 광주 등 8곳이었다.

정의
조선시대, 경주 · 전주 등에 두었던 부(府)를 관할하던 종2품의 지방 장관.
설치 배경

고려의 수도였던 경주 · 평양, 조선 왕실의 발상지인 전주, 태조 이성계와 태종 이방원이 탄생한 영흥 · 함흥, 국왕이 파천하였던 의주 · 강화 · 광주 등에 설치되었다.

임무와 직능

수령 중에서 품계가 가장 높은 종2품이었다. 일반 수령처럼 수령7사가 부윤의 가장 중요한 임무였다. 즉, 농업과 잠업 장려, 호구 증가, 학교 진흥, 군정(軍政) 정비, 균등한 부역(賦役) 부과, 간명한 송사 처리, 간사하고 교활한 풍속의 교정 등이다. 부윤도 수령의 군직(軍職)을 겸직한다는 규정에 따라 몇 개 고을로 구성된 진관의 책임자인 절제사를 겸직하였다.

변천사항

조선시대에 부윤이 부임하는 부(府)가 설정된 지역은 전 시기에 걸쳐 거의 변동이 없었다. 『경국대전』을 보면 경상도의 경주, 전라도의 전주, 영안도(지금의 함경도)의 영흥, 평안도의 평양 4곳이었으며, 영흥과 평양은 관찰사가 겸직하였다.

반면 전주는 왕성(王姓)의 발원지이기 때문에 별도로 부윤을 두었다. 이시애의 난으로 영흥으로 옮겨갔던 관찰사영이 1509년(중종 4)에 함흥으로 돌아오면서 영흥은 대도호부로 강등되고 함흥이 부윤으로 승격하였다. 조선 후기에도 경주 · 전주 · 평양 · 함흥 등 4곳은 부윤을 유지하였다.

참고문헌

원전

『경국대전(經國大典)』
『대전회통(大典會通)』
『속대전(續大典)』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단행본

이수건, 『조선시대지방행정사』(민음사, 1989)

논문

박범, 「19세기 전반 의주부의 행정조직과 부윤의 역할 변화」(『한국문화』 87,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9)
장준호, 「임진왜란기 경주의 동향과 경주부윤 박의장의 전시행정」(『국학연구』 36, 한국국학진흥원, 2018)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