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극치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전기 세조~연산군 대 평안도 병마절도사 등을 지낸 무신.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주요 관직
평안도 병마절도사|승정원 우승지
내용 요약

조극치는 조선 전기 세조~연산군 대 평안도 병마절도사 등을 지낸 무신이다. 어마(御馬)를 관장하는 내승(內乘) 출신으로, 성종 때 여러 차례 탁용(擢用)할 무신 대상자에 선발되었다. 전라좌도 수군절도사, 경상우도·평안도·전라도 병마절도사를 지냈으며, 성종의 문무 병용(竝用) 정책에 힘입어 승정원의 우승지·좌승지에 발탁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처신이 바르지 못하고 평안도 병사 시절 잘못을 범하여 평판이 좋지 않았으며, 성종 말엽부터 제대로 등용되지 못하였다.

키워드
정의
조선 전기 세조~연산군 대 평안도 병마절도사 등을 지낸 무신.
가계 및 인적 사항

조극치(曺克治)의 가계 관련 내용은 알려지지 않았다.

발탁 계기

임금의 말과 수레를 관장하는 내승(內乘) 출신으로, 성종주1를 받아 주2의 주요 관직을 역임하였다. 1472년(성종 3)에 함길도 온성(穩城) 판관(判官), 1476년에는 비인(庇仁) 현감(縣監)에 임명되었다. 현감 임명 당시, 사간원에서 무예에는 능하지만 학문이 모자란다는 이유로 교체를 건의하였지만 무신을 주3하려는 성종의 의지에 따라 부임하게 되었다. 1482년 영경연사(領經筵事) 홍응(洪應)이 그의 탁용을 건의하여 승낙을 받았고, 1483년(성종 14)과 1484년(성종 15) 두 차례 탁용할 만한 무신 대상자에 선정되기도 하였다. 이를 계기로 성종의 인정을 받아 고위직으로 진출할 수 있게 되었다.

주요 활동

1484년에 당상관으로 승진하여 전라좌도(全羅左道) 수군절도사(水軍節度使)에 임명되었고, 1489년에는 병조참지(兵曹參知)를 거쳐 승정원(承政院) 우승지(右承旨)좌승지(左承旨)를 역임하였다. 그가 문신이 아닌데도 승지에 발탁된 것은 문무를 병용(竝用)하려는 성종의 정책적 판단 때문이었다. 그러나 장악원(掌樂院)에서 기생과 음란한 행위를 저지르고, 대간의 말을 제대로 출납하지 못해 좋은 평가를 받지는 못하였다.

1490년 경상우도(慶尙右道) 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를 거쳐 1492년 평안도 병마절도사에 임명되었다. 평안 병사로 재직할 때 이산(理山) 사람이 야인에게 잡혀간 것을 제대로 보고하지 않았다는 죄목으로 먼 지방에 주4되었다. 이후 1497년(연산군 3) 정승들의 의계(議啟)에 따라 주5되고, 1500년 전라도 병마절도사에 임명되기도 하였다. 그렇지만 사람됨이 거칠고 사납다는 평가와 평안 병사 시절의 잘못 때문에 번번이 대간의 비판에 직면하였다.

1454년(단종 2) 알성시(謁聖試)에 급제한 후 함길도 도사(都事)로 재직 중에 1467년(세조 13)에 일어난 이시애(李施愛)의 난 때 피살당한 조극치(曺克治)는 그와 동명이인(同名異人)이다.

참고문헌

원전

『성종실록(成宗實錄)』
『세조실록(世祖實錄)』
『연산군일기(燕山君日記)』
주석
주1

남이 자신의 인격이나 재능을 알고 잘 대우함.    우리말샘

주2

‘무반’을 달리 이르던 말. 궁중의 조회 때에 문관은 동쪽에, 무관은 서쪽에 벌여 선 데서 나온 말이다.    우리말샘

주3

많은 사람 가운데 뽑아 씀.    우리말샘

주4

벼슬아치에게 어느 곳을 지정하여 머물러 있게 하던 형벌.    우리말샘

주5

죄를 지어 면관(免官)되었던 사람을 다시 벼슬자리에 등용함.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