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전 ()

목차
과학기술
유물
조선시대 무과의 초시와 복시 때 시험용으로 쓰던 나무로 만든 화살.
이칭
이칭
박두전(樸頭箭), 목박두전(木樸頭箭)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무과의 초시와 복시 때 시험용으로 쓰던 나무로 만든 화살.
내용

대열(大閱: 3년마다 임금이 몸소 참석하여 행하는 閱武)이나 무과를 비롯한 시취(試取: 과거를 보게 하여 인재를 뽑는 일) 또는 교습(敎習)에 사용하는 화살로서, 화살촉은 나무를 깎아 끝을 뭉툭하게 만들었으며, 깃[羽]이 좁고, 화살대의 길이는 3척 8촌 내지 4척이다.

박두전(樸頭箭) 또는 목박두전이라고도 하는데, 240보(步)의 원사용(遠射用)으로 쓰였다. 즉, 목표까지의 거리는 240보이고, 대개 보사(步射)에는 화살 3발을 사용한다. 1발이 목표까지 미칠 때마다 7점을 주되 240보를 지나면 초과하는 5보마다 1점을 더해주고 50보를 지나면 목표 밖에 떨어졌더라도 점수를 준다. 단, 전목표의 좌우거리는 50보, 후목표의 좌우거리는 70보 이내라야 한다.

초시에는 득점 화살수 1개 이상을 선발하며, 복시도 이와 동일하다. 한편, 보사는 도보중에 활을 쏘아 무예를 시험하는 것으로, 목전과 철전(鐵箭)을 써서 주로 멀리 쏘는 능력을 살피고, 편전(片箭)을 써서 주로 정확히 쏘는 능력을 평가하였다.

목전과 철전의 경우 각각 240보와 80보 거리에 표(標)를 설치하였고, 편전의 경우에 130보 거리에 후(候: 과녁)를 설치하고, 중앙에 관(貫)을 표시하였는데, 무과를 비롯한 각종 시취와 군사들의 훈련에 사용되었다. 표는 표지 또는 표적이라는 뜻을 지니지만, 여기에서는 보사로 활을 쏘아 득점할 수 있는 거리와 범위를 나타내기 위하여 세운 후와 기를 가리킨다.

참고문헌

『경국대전(經國大典)』
『한국사(韓國史)』(진단학회, 을유문화사, 1978)
『조선(朝鮮)의 궁술(弓術)』(이중화, 조선궁술연구회, 1929)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