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장격문 ()

근대사
작품
동학농민군이 제1차 봉기 때 전라도 무장에서 발포한 격문.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동학농민군이 제1차 봉기 때 전라도 무장에서 발포한 격문.
개설

발포 일자는 1894년 4월 25일(음력 3월 20일)로 추정되고 있다. 이 격문에는 동학농민군의 봉기 목적이 잘 나타나 있다.

내용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세상에서 사람을 가장 귀하다 하는 것은 인륜이 있기 때문이다. 군신부자(君臣父子)의 관계는 인륜 중에서 가장 큰 것이다. 임금이 어질고 신하가 곧으며 아버지가 자식을 사랑하고 아들이 효도한 이후에야 집과 국가가 무강(無疆)의 복을 누릴 수 있다.

지금 우리 임금은 인효자애(仁孝慈愛)하고 신명성예(神明聖叡)한지라, 현량방정(賢良方正)의 신하가 있어서 그 총명을 도울지면 요순(堯舜)의 덕화(德化)와 문경(文景)의 선치를 가히 바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오늘날의 신하된 자는 보국(報國)을 생각하지 않고 한갓 녹(祿)과 위(位)만 도둑질하여 임금의 총명을 가리고 아부나 아첨만을 일삼아 충간(忠諫)하는 선비의 말을 요언(妖言)이라 하고 정직한 사람을 비도(匪徒)라 하니, 안으로는 보국(輔國)의 인재가 없고 밖으로는 학정(虐政)의 관리만 많도다.

이에 인민의 마음은 날로 흩어져 즐거운 삶의 생업(生業)이 없고 나아가 몸을 보존할 대책이 없다. 학정은 날로 더해가고 원성은 그치지 않으니, 군신의 의(義)와 부자의 윤(倫)과 상하의 분(分)이 드디어 다 무너지고 말았다.

관자(管子)가 가로되 사유(四維)가 베풀어지지 않으면 국가는 멸망한다 하였으니 오늘의 형세는 옛날의 그것보다 더 심하도다 ……. 우리는 비록 초야의 유민(遺民)일지라도 군토(君土)를 먹고 군의(君衣)를 입고 사는 자이다.

어찌 국가의 위망(危亡)을 앉아서 보기만 하겠는가! 팔로(八路)가 마음을 합하고 수많은 백성의 뜻을 모아 이제 의로운 깃발을 들어 보국안민(輔國安民)으로써 사생(死生)의 맹세를 하오니, 금일의 광경은 비록 놀랄만한 일이기는 하나 경동(驚動)하지 말고 각자 그 업을 편안히 하여 승평일월(昇平日月)을 함께 빌고 임금의 덕화를 함께 입게 되기를 바라노라.”

의의와 평가

이 격문을 보면 동학농민군은 유교적인 이상국가관에 입각해 당시 정치를 비판하고, 그의 광정(匡正)을 촉구하기 위해 봉기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아울러 그들의 비판 대상은 당시 권력구조의 정점(頂點)을 차지하고 있던 국왕이 아니라, 그를 떠받치고 있던 권신(權臣)들이었다.

즉, 동학농민군은 중앙의 권귀(權貴)였던 민씨척족(閔氏戚族)과 그에 기생하여 탐학을 일삼고 있던 지방수령 및 아전들을 제거하여 기울어진 조선왕조의 국운을 회복하여 백성들의 생계를 도모하려 하였던 것이다.

이 점에서 이 격문은 동학농민군 제1차 봉기의 표어였던 ‘권귀진멸(權貴盡滅)’과 ‘보국안민’의 내용을 좀 더 구체적으로 밝혀준다.

참고문헌

『동학란기록』(국사편찬위원회, 1974)
「갑오농민전쟁의 제1차농민전쟁」(신용하, 『한국학보』40, 1985)
「동비토록」(학회자료, 『한국학보』2, 1976)
「동비토록-해제-」(신용하, 『한국학보』2, 1976)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