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후제 ()

목차
관련 정보
무후제비
무후제비
민간신앙
의례·행사
음력 9월 초정일(初丁日)이나 음력 9월 9일에삼척과 태백에서 후사(後嗣)가 없는 사람을 위하여지내는 마을제사. 민속의례 · 동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음력 9월 초정일(初丁日)이나 음력 9월 9일에삼척과 태백에서 후사(後嗣)가 없는 사람을 위하여지내는 마을제사. 민속의례 · 동제.
내용

매년 음력 9월 초정일(初丁日)이나 9월 9일에 지낸다. 예로부터 삼척·태백 일대의 탄광지대에는 떠돌아다니는 유랑민, 광산인이 많았고 이들은 후사도 없이 죽는 수가 많았다.

이러한 연유에서 무후제가 비롯된 것으로 보이는데, 자식이 없이 죽게 된 사람은 대개 죽기 전에 자신의 전답이나 돈을 군이나 면에 기탁하고 사후에 무후제를 지내달라고 부탁하기도 한다.

이러한 사람들을 위하여 무후제를 지내 주며, 그들이 남긴 재산은 제사의 비용으로 충당하기도 한다. 제의 방식은 유가식(儒家式)으로 진행한다. 주과포(酒果脯)·메·떡 등 제물을 차려놓고 홀기(笏記 : 제례의식 때에 그 순서를 적는 글)대로 삼헌관이 지낸다.

삼척시 외 강릉 일부(언별리 등)에서도 무후제를 지내는 곳이 있으나, 이 곳처럼 동제(洞祭)의 성격을 띤 관의 공식적 행사는 아니고 성묘만 하며, 규모 또한 그리 크지 않다. 자식이 없는 사람을 위하여 지내는 제사는 탄광지대가 많은 지역이 지니는 특이한 문화현상이라 할 수 있다. 현재 무후제 비(碑)가 태백시 장성동에 있다.

참고문헌

『한국구비문학대계(韓國口碑文學大系)』(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0∼1988)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韓國民俗綜合調査報告書)』-강원도편(江原道篇)-(문화재관리국, 1977)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