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묘향사록 ()

목차
유교
문헌
조선시대 문묘 및 계성사 · 숭절사 등에 제향되는 위패의 배치를 도시(圖示)하고, 그 뒤에 각각 향사인(享祀人)의 간단한 신상명세와 약력 등을 기록한 의례서. 향사록.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문묘 및 계성사 · 숭절사 등에 제향되는 위패의 배치를 도시(圖示)하고, 그 뒤에 각각 향사인(享祀人)의 간단한 신상명세와 약력 등을 기록한 의례서. 향사록.
내용

1책. 목판본. 1765년(영조 41) 영조의 명으로 김구주(金龜柱)·구상(具庠) 등에 의해 편찬되었다. 권두에 어제(御製) 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국립중앙도서관·연세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문묘향사도(文廟享祀圖)·계성사도(啓聖祠圖)·숭절사도(崇節祠圖)와 각 도표별로 향사록(享祀錄)이 수록되어 있다.

「문묘향사도」에는 대성전(大成殿)과 동·서무(東西廡)의 위패 배치를 도시하였다. 우리나라 유학자로는 설총(薛聰)·최치원(崔致遠)·안향(安珦)·정몽주(鄭夢周)·김굉필(金宏弼)·정여창(鄭汝昌)·조광조(趙光祖)·이언적(李彦迪)·이황(李滉)·이이(李珥)·성혼(成渾)·김장생(金長生)·송시열(宋時烈)·송준길(宋浚吉)·박세채(朴世采) 등 15인만 올라 있어 현행 18인과 차이가 있다.

「계성사도」에는 공숙양흘(孔叔梁紇)·안무유(顔無유)·증점(曾點)·공리(孔鯉)·맹격(孟激) 등 공자·안자·증자·자사·맹자의 아버지에 대한 위패 배치가 도시되어 있다. 「숭절사도」에는 동양(董養)·하번(何蕃)·진동(陳東)·구양철(歐陽澈) 등 역대로 충절을 보인 중국의 4태학생(四太學生)의 위패가 도시되어 있다.

숭절사에 관한 기사(記事)의 말미에는 영조 어제의 「숭절사친림시윤음(崇節祠親臨時綸音)」이 있는데, 4태학생을 제향하게 되기까지 영조의 심회가 잘 표현되어 있다. 「계성사도」·「숭절사도」는 세주(細註)를 통해 그 창건 및 중건 내역을 알 수 있다. 각 향사록은 향사인의 존호·성명·자·호·관함·수(壽)·저서·종향년(從享年)을 기록하고 있다.

집필자
이민식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