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민효 ()

상체헌유집
상체헌유집
유교
인물
조선 후기에, 숭덕전참봉 등을 역임하였으며, 『춘추인씨지』, 『사략변의』, 『상체헌유집』 등을 저술한 학자.
이칭
사원(士源)
상체헌(常棣軒)
이칭
망구(望久)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672년(현종 13)
사망 연도
1747년(영조 23)
본관
고령(古靈)
출생지
미상
주요 관직
참봉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에, 숭덕전참봉 등을 역임하였으며, 『춘추인씨지』, 『사략변의』, 『상체헌유집』 등을 저술한 학자.
개설

본관은 고령(古靈). 자는 사원(士源). 호는 상체헌(常棣軒). 초명은 망구(望久)였다. 아버지는 박용서(朴龍瑞), 어머니는 남양홍씨(南陽洪氏) 홍이사(洪以泗)의 딸이다. 권해(權瑎)·이현일(李玄逸)의 제자가 되었다.

생애 및 활동사항

어렸을 때 아버지 박용서에게 글을 배웠고, 16세에 울산 언양(彦陽)에서 귀양살이 중인 권해를 찾아가 문인이 된 뒤로 권신경(權信經)·오희창(吳喜昌)·송식(宋湜)·정강중(丁康仲) 등 여러 동학들과 함께 권해를 따라 다니면서 학업을 닦았다.

1721년(경종 1)에 진사가 되고, 1739년(영조 15)에 숭덕전(崇德殿) 참봉이 되었다. 고향에서 서당을 열고 후진 교육에 진력하여 진사 김경천(金敬天)·서석린(徐錫麟) 등 학자를 길러냈다.

벼슬은 참봉에 그쳤지만 후진 교육과 학문에 힘썼으며, 이재(李栽)·권상일(權相一)·정만양(鄭萬陽)·권만(權萬) 등 당대의 학자들과 교류하였다. 또 효행이 널리 알려져 어사 박문수(朴文秀)와 경상도관찰사 김한철(金漢喆)에게 몇 차례의 천거를 받았으나 끝내 정문은 서지 못했다.

저술에도 힘써 『춘추인씨지(春秋人氏志)』·『사략변의(史畧辨疑)』(또는 『증사변의(曾史辨疑)』라고도 함) 『주사기언(朱史畸言)』·『동감촬요(東鑑攥要)』·『사서주토(四書註吐)』 등의 저서를 남겼으며, 권상일과 함께 『학성지(鶴城志)』를 공편하였다. 시문집인 『상체헌유집(常棣軒遺集)』 5권이 간행되었다.

참고문헌

『상체헌유집(常棣軒遺集)』
『갈암문집(葛菴文集)』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