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아도 갈문왕 ( )

목차
고대사
인물
삼국시대 신라의 제7대 일성이사금이 갈문왕으로 추봉한 귀족.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삼국시대 신라의 제7대 일성이사금이 갈문왕으로 추봉한 귀족.
개설

박제상(朴堤上)의 할아버지이다. 148년(일성이사금 15)에 갈문왕으로 책봉되었다. 그를 갈문왕으로 책봉해 준 일성이사금과의 관계는 확실하지는 않다.

박아도와 일성의 관계에서 생각할 수 있는 것은, 첫째 박아도를 일성왕의 왕비 아버지였다는 박씨 지소례왕(支所禮王)과 동일한 인물로 보거나, 둘째 박아도가 일성의 아버지로서 일성에 의하여 추봉(追封)되었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특히, 후자의 경우 신라 제12대 점해이사금이 그의 아버지 골정(骨正)을 세신갈문왕(世神葛文王)으로 추봉하였고, 제17대 미추이사금이 그의 아버지 구도(仇道)를 갈문왕으로 추봉한 것과 같은 현상이라고 본다면 자연스러운 견해로 받아들일 수 있게 된다.

특히, 제7대 일성이사금이 제3대 유리이사금과 다른 가계(家系)를 가졌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박아도가 일성의 아버지일 가능성은 더욱 커지게 된다.

박아도가 일성의 아버지로서 갈문왕에 추봉되었다는 것은, 당시 신라에서 다른 씨족이 왕위에 즉위하였을 때 그들은 자기의 아버지를 갈문왕으로 추봉하였다는 현상을 말해준다. 결국 이것은 신라사회가 박씨왕시대보다 지배세력의 기반이 확대되어나가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참고문헌

『삼국사기』
『삼국유사』
「신라시대의 갈문왕」(이기백, 『역사학보』 58, 1973 ; 『신라정치사회사연구』, 일조각, 1974)
「新羅葛文王考」(今西龍, 『藝文』 13·5, 1922 ; 『新羅史硏究』, 193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