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첨지 ()

목차
관련 정보
남사당놀이 꼭두각시놀음 박첨지
남사당놀이 꼭두각시놀음 박첨지
연극
인물
우리나라 유일한 민속인형극인 꼭두각시놀음의 남자 배역.
목차
정의
우리나라 유일한 민속인형극인 꼭두각시놀음의 남자 배역.
내용

성이 박씨가 된 것은 인형을 박(瓠)으로 만든 데서 유래한 것이며, 인형의 인격화를 위해서 첨지를 붙여 박첨지가 된 것이다. 박첨지는 봉건적인 사회구조 속에서 거덜이 난 전형적 서민형으로, 몸은 늙었으나 마음은 허해서 가정을 버리고 팔도유람하면서 젊은 첩을 얻기도 한다.

박첨지는 바람기와 역마살이 끼어서 어느 한곳에 머무르지를 못하지만, 가창과 시와 유머가 있는 방랑인이다. 그는 세속적인 것을 혐오해서 양반에게 고통도 당하지만 별로 겁내지도 않는다. 즉 그는 영원한 자유인이며 또 탈속자이기도 하다. 그러나 그도 세월과 함께 늙어갔고, 삶의 고통과 고독이 쌓여가 결국 불교로 귀의한다.

꼭두각시놀음의 끝장면인 건사(建寺)는 바로 그러한 의미를 담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박첨지는 아픈 체험을 통해서 인생이란 한갓 덧없는 것이라는 사실을 몸소 보여주는 한국서민의 모습이라 하겠다.

참고문헌

『한국연극(韓國演劇)의 미학(美學)』(유민영, 단국대학교출판부, 1982)
『남사당패연구(男寺黨牌硏究)』(심우성, 동화출판공사, 1974)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유민영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