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야는 범어 프라즈나(prajñā)에 대한 음역으로, 현상을 있는 그대로 아는 뛰어난 지혜를 말한다. 주객의 대립을 전제한 분별지(分別智, vijñāna)를 초월해 있기 때문에 무분별지(無分別智)라고도 불리며, 반야를 통해서 깨달음을 얻기 때문에 불모(佛母)라고도 불린다. 반야 사상은 대승불교에서 확립되었다.
대승의 반야는 현상에 대한 새로운 자각에서부터 비롯된다. 대승불교에서는 소승불교가 가졌던 현상에 대한 객관적 해석과 이론적 분석 태도를 지양하고, 체험과 실천을 통하여 현상의 있는 그대로를 체득하는 자각, 즉 반야를 강조하였다. 그리고 현상의 있는 그대로의 본래 모습은 선정(禪定)의 체험을 통해서 자각된다고 보았다.
대승불교에서는 반야의 지혜로써 선정 체험을 통하여 얻는 깨달음의 내용을 강조하였다. 이는 어디까지나 주객의 대립을 초월한 경지에서 감득할 수 있는 주체적인 의식이기 때문에, 이성과 지성의 세계에서 작용하는 지식과는 명확히 구별되어야 한다. 반야의 지혜는 선정에 의하여 얻어지는 것이므로, 반야의 입장에서는 이 선정의 체험이 재평가되고 나아가 선종(禪宗)의 조사선(祖師禪)까지도 이에 근거를 두게 된다.
반야의 지혜는 반야부 계통의 모든 경전에서 여러 가지로 해설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 저술한 반야부 계통의 주석서에서도 반야를 부각시키고 있다. 결국 불교의 목적은 반야의 완성으로 귀결되는 것이다.
반야의 지혜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모든 현상들이 공(空) 함으로 파악되었고, 반야를 얻기 위해서는 집착해서는 안 될 것에 집착하는 어리석음을 타파해야 한다는 관점에서 공 사상이 부각되었다. 결국 공의 상태에 이를 수 있는 자는 자연스럽게 반야의 지혜를 체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주객이 분리된 입장에서가 아니라, 분별을 초월한 경지에서 감득되는 반야의 지혜는 현실 사회 속에서 자비(慈悲)로써 작용한다. 교리적으로 이는 지혜와 자비의 상즉(相卽)이라는 형태로 해설되는 것이다. 불교적 체험을 얻은 사람이면 저절로 생겨나게 되는 보시(布施)의 정신이 여기서 비롯된다.
반야의 지혜로 깨달음의 경지에 이르면 다시 반야의 몸으로 현실 속에 되돌아와서 '보시'라는 형태의 갖가지 자비를 베풀게 된다. 더 나아가 반야는 선정과 불도(佛道) 및 열반(涅槃)에 대한 여러 가지 집착을 소멸시키고 성불할 수 있게 하는 주문으로까지 그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동아시아 불교계에서는 이 반야를 2반야, 혹은 3반야로 나누어 설명하기도 한다.
먼저 2반야는 반야를 공반야(共般若)와 불공반야(不共般若)로 구분하는 것으로, 천태종에서 이 설을 많이 따르고 있다. 공반야는 성문(聲聞) · 연각(緣覺) · 보살의 삼승(三乘)을 위하여 설한 반야의 법문으로, 『반야경』 등의 여러 대승경전이 이에 속한다. 불공반야는 일승(一乘)의 보살만을 위하여 설한 것으로, 『화엄경』이 이에 속한다. 『화엄경』은 부처의 지혜를 모두 표출한 경전이기 때문에 성문이나 연각은 완전하게 이해할 수 없다는 뜻에서 불공이라고 한 것이다.
3반야는 문자반야(文字般若) · 관조반야(觀照般若) · 실상반야(實相般若)이다. 3반야는 동아시아에서 반야를 설명할 때 가장 많이 채택되며, 특히 우리나라의 원효(元曉) 등 고승들이 이에 대해 깊이 있게 해석하고 있다. 문자반야는 방편반야(方便般若)라고도 한다. 이는 부처님이 설하여 문자화된 경(經) · 율(律) · 논(論)을 전부 통칭한 것으로 문자로 말미암아 반야의 뜻을 전할 수 있으므로 문자반야라고 한다. 관조반야는 경 · 율 · 논의 글자나 말에 의하여 진리를 알아내고 이 진리에 의해서 수행하고 실천하는 것을 말한다. 관조반야의 진실한 지혜는 반드시 무념무분별(無念無分別)이다. 실상반야는 부처님의 말씀 가운데 감추어져 있는 진리이며, 관조반야를 통하여 체득되는 궁극이다. 천태종에서는 이를 중도실상(中道實相)의 이치를 깨닫는 일체종지(一切種智)라 하였고, 신라의 원효는 여래가 감추어진 중생이 곧 이것이라 하여, 실상반야가 곧 여래장(如來藏)이라는 사상을 전개시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