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심수행장언해 ()

언어·문자
문헌
삼국시대 신라승려 원효의 『발심수행장』을 풀이한 언해서. 불교경전언해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삼국시대 신라승려 원효의 『발심수행장』을 풀이한 언해서. 불교경전언해서.
개설

원효(元曉)의 『발심수행장(發心修行章)』을 번역하여 16세기말에 간행한 불경언해서이다. 지눌(知訥)의 『계초심학인문(誡初心學人文)』과 각우(覺牛, 호는 野雲)의 『야운자경서(野雲自警序)』(또는 야운자경문(野雲自警文))의 언해와 합본하여 3권 1책으로 되어 있다.

편찬/발간 경위

송광사판은 현재까지도 책판이 남아 있을 뿐만 아니라, 1978년 『명지어문학』(명지대학 국어국문학과) 10호에 그 『계초심학인문·발심수행장언해』가 영인되어 널리 보급되었다. 서봉사판은 매우 드물어서 영남대학교 도서관본과 일본 동경대학의 오구라(小倉進平) 구장본만이 전한다.

1997년에는 홍문각에서 송광사판을 『계초심학인문』, 『발심수행장언해』와 합본하여 영인하였다.

서지적 사항

현재 알려진 언해본은 2종이 있다. 간기에 따르면 1577년(선조 10) 전라남도 순천 송광사(松廣寺)와 1583년 경기도 용인 서봉사(瑞峯寺)에서 간행되었고, 이후 각각 언해되었지만, 대문을 분절한 곳과 언해, 한자독음의 표기 등이 다르다.

그리고 책수에서 3권 1책인 점은 같으나, 송광사판은 장차(張次) 표시를 3권에 연속시켰고, 서봉사판은 권마다 독립시킨 점이 다르다. 또한 한 사람이 모두 번역한 것으로 보이나, 역자는 미상이다.

내용

원전을 대문으로 나누어 한글로 구결을 달고 언해한 것은 다른 불경의 언해와 같으나, 원전 대문의 한자에 한글로 독음까지 표시한 것이 특이하다.

송광사판은 15세기말 성종 때의 불경언해와 비슷한 문체를 보여주지만, 간행연대에 따라 16세기말의 국어사 자료로 이용함이 온당하다. 실제로 이 책의 방점은 극히 형식적인 표기이며 ‘ㅿ’의 사용도 혼란을 보이고 있다. 그런데 이 책에서는 광범위하게 구개음화가 이루어진 것을 보여주는 언어사실이 있다. 특히 한자독음의 표기에서는 대부분의 경우 ‘디·댜·뎌’ 등이 ‘지·쟈·져’ 등과 변별되지 못하고 있다. 이것은 간행지인 전라도 방언의 구개음화를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서봉사판은 방점과 ‘ㆁ’이 없고, 혼란되지만 ‘ㅿ’이 사용되고 있다. 문법사실과 어휘도 송광사판보다 근대어에 가까운 모습을 보인다. 그런데도 구개음화의 예가 전혀 나타나지 않는 것은 전라도 방언과 중앙어와의 차이 때문인 듯하다.

의의와 평가

이들 이본은 같은 원전을 비슷한 시기에 따로 번역하여 간행한 것이다. 방언의 차이로 인한 사실도 있기 때문에 국어사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된다.

참고문헌

『초발심자경문언해』(정우영, 신구문화사, 2005)
「임진란직전의 국어사자료에 관한 2, 3문제에 대하여」(안병희, 『진단학보』 33, 1972)
집필자
안병희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