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효(元曉)의 『발심수행장(發心修行章)』을 번역하여 16세기말에 간행한 불경언해서이다. 지눌(知訥)의 『계초심학인문(誡初心學人文)』과 각우(覺牛, 호는 野雲)의 『야운자경서(野雲自警序)』(또는 야운자경문(野雲自警文))의 언해와 합본하여 3권 1책으로 되어 있다.
송광사판은 현재까지도 책판이 남아 있을 뿐만 아니라, 1978년 『명지어문학』(명지대학 국어국문학과) 10호에 그 『계초심학인문·발심수행장언해』가 영인되어 널리 보급되었다. 서봉사판은 매우 드물어서 영남대학교 도서관본과 일본 동경대학의 오구라(小倉進平) 구장본만이 전한다.
1997년에는 홍문각에서 송광사판을 『계초심학인문』, 『발심수행장언해』와 합본하여 영인하였다.
현재 알려진 언해본은 2종이 있다. 간기에 따르면 1577년(선조 10) 전라남도 순천 송광사(松廣寺)와 1583년 경기도 용인 서봉사(瑞峯寺)에서 간행되었고, 이후 각각 언해되었지만, 대문을 분절한 곳과 언해, 한자독음의 표기 등이 다르다.
그리고 책수에서 3권 1책인 점은 같으나, 송광사판은 장차(張次) 표시를 3권에 연속시켰고, 서봉사판은 권마다 독립시킨 점이 다르다. 또한 한 사람이 모두 번역한 것으로 보이나, 역자는 미상이다.
원전을 대문으로 나누어 한글로 구결을 달고 언해한 것은 다른 불경의 언해와 같으나, 원전 대문의 한자에 한글로 독음까지 표시한 것이 특이하다.
송광사판은 15세기말 성종 때의 불경언해와 비슷한 문체를 보여주지만, 간행연대에 따라 16세기말의 국어사 자료로 이용함이 온당하다. 실제로 이 책의 방점은 극히 형식적인 표기이며 ‘ㅿ’의 사용도 혼란을 보이고 있다. 그런데 이 책에서는 광범위하게 구개음화가 이루어진 것을 보여주는 언어사실이 있다. 특히 한자독음의 표기에서는 대부분의 경우 ‘디·댜·뎌’ 등이 ‘지·쟈·져’ 등과 변별되지 못하고 있다. 이것은 간행지인 전라도 방언의 구개음화를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서봉사판은 방점과 ‘ㆁ’이 없고, 혼란되지만 ‘ㅿ’이 사용되고 있다. 문법사실과 어휘도 송광사판보다 근대어에 가까운 모습을 보인다. 그런데도 구개음화의 예가 전혀 나타나지 않는 것은 전라도 방언과 중앙어와의 차이 때문인 듯하다.
이들 이본은 같은 원전을 비슷한 시기에 따로 번역하여 간행한 것이다. 방언의 차이로 인한 사실도 있기 때문에 국어사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