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달원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전기 보부상단의 시조로 여겨지는 상인.
인물/전통 인물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전기 보부상단의 시조로 여겨지는 상인.
생애 및 활동사항

조선 보부상단(褓負商團)의 시조(始祖)로 여겨지는 인물이다. 보부상(褓負商)이라 불리는 행상(行商)의 기원(起源)은 이미 고대 사회에서 비롯되었지만, 전국적인 상인 단체로 조직된 것은 조선 초기로 추정되고 있다. 즉, 조선 건국 때 부상 단체인 부상청(負商廳)의 첫 5도도반수(五道都班首)가 바로 백달원이다.

몇 가지 전설에 따르면 백달원이 이성계(李成桂)의 건국 창업에 충성을 다해 그 대가로 부상청이 설치되었다 한다. 즉, 이성계가 건국 전 함경도 만호(萬戶)로 있을 때 여진족과의 전투에서 적이 쏜 화살에 머리를 맞고 적병들에게 쫓기고 있었는데, 마침 황해도 토산군(兎山郡)에 거주하던 백달원이 죽립(竹笠)을 쓰고 지게를 짊어지고 가다가 이를 보고 지게에 싣고 위기에서 빠져나왔다.

태조는 즉위 뒤 백달원의 소원에 따라 소자본인 8도 행상인을 구제할 목적으로 각 주(州)·군(郡)에 임방(任房)을 설치하게 하고, 침식, 질병의 치료, 장의(葬儀) 등을 자유롭게 행할 수 있도록 했다는 것이다.

또는 태조가 즉위 뒤 안변에서 석왕사(釋王寺)를 증축할 때 백달원이 동료 80인을 인솔해 자재와 식량을 운반하고, 또 삼척군에 있는 500나한(羅漢)을 이안(移安: 안전하게 옮겨줌)해주었기에 태조가 그 공로를 가상히 여겨 개성 발가산(發佳山)에 임방을 두고 옥도장을 하사했다는 설도 있다. 이러한 전설들로 미루어보아 조선 초기 부상단의 창설은 바로 백달원으로 인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조선보부상고』(유자후, 정음사, 1948)
『보부상』 (박원선, 한국연구원, 1965)
『한국근대경제사연구』(유원동, 일지사, 1977)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