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졸암문집 ()

목차
관련 정보
백졸암문집
백졸암문집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유직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89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유직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89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4권 2책. 목판본. 1789년(정조 13) 후손 도원(道源)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상정(李象靖)의 서문과 권말에 도원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과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2에 시 249수, 권3에 서(書) 25편, 권4에 잡저 2편, 전(箋) 4편, 예장(禮狀) 2편, 상량문 1편, 서(序) 1편, 제문 8편이 수록되어 있고, 부록에는 저자의 행장·묘지명·묘갈명 각 1편, 제문 3편, 만사 8수가 실려 있다.

시는 웅건하고 호방하며, 외적의 침입으로 인한 국난에 처하여 비분강개와 우국충정의 심정을 읊은 것이 많다. 김정(金珽)에게 답한 서한에서는 초학자의 학문하는 자세와 수양의 방법을 논하였다.

「의병모량문(義兵募糧文)」은 병자호란 때 의병들을 원조하기 위하여 군량을 추렴하여 모으자는 내용의 호소문으로, 당시의 실정을 알려주는 자료이다. 이 책에 수록된 기우제문(祈雨祭文)과 왕실에 올린 하전(賀箋) 등도 흥미 있는 글들이다.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