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은 법주사 쌍사자 석등 ( )

목차
관련 정보
보은 법주사 쌍사자 석등
보은 법주사 쌍사자 석등
건축
유적
국가유산
충청북도 보은군 속리산면 법주사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8각 석등.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보은 법주사 쌍사자 석등(報恩 法住寺 雙獅子 石燈)
분류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석등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국보(1962년 12월 20일 지정)
소재지
충북 보은군 속리산면 법주사로 379, 법주사 (사내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충청북도 보은군 속리산면 법주사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8각 석등.
내용

1962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높이 3.3m. 간주(竿柱)에 변화를 주어 특색을 발휘한 전형적인 신라시대의 8각석등이다.

지표에 놓인 넓은 팔각 지대석(地臺石)은 아래위에 테를 돌리고 우주형(隅柱形)을 표시하였으나 각 면에 조식(彫飾)은 없고 상면에는 각형(角形)과 반원형 2단의 뚜렷한 굄이 표현되었다.

하대석(下臺石)은 8각으로 꽃잎 속에 화형(花形)이 장식된 단판복련(單瓣覆蓮) 8엽이 조각되었다. 8각기둥을 대신한 쌍사자(雙獅子)는 뒷발을 하대석에 버티어 가슴을 대고 마주 서서 앞발로 상대석(上臺石)을 받쳤으며, 머리는 들어서 위를 향하였는데 머리에는 갈기가 있고 다리와 몸에는 근육까지 표현되었다.

상대석에는 서로 양식이 다른 단판의 앙련(仰蓮)을 이중으로 조각하였다. 화사석(火舍石: 석등의 점등하는 부분)은 8각으로 네 곳에 장방형 화창(火窓)을 내었는데, 화창 주위에 작은 구멍이 있어 다른 기능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개석(蓋石)은 크고 8각이며 처마 밑은 수평이나 추녀 끝이 약간 반전(反轉)되었으며, 정상에는 복련을 조각하였다. 옥개 위에는 구형(球形)의 보주(寶珠)가 남아 있다.

이 석등은 신라시대의 석등 중에서도 간단하고 예스러운 조각수법과 넓은 지대석 및 옥개석 등의 비례에서 장중한 품격이 넘치고 있다. 법주사에 전하는 또하나의 사천왕석등과 함께 신라 석등의 걸작이며, 조성연대는 8세기경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石燈調査報告書』 2.異形式 篇(정명호, 國立文化財硏究所, 2001)
『문화재대관』국보 1(한국문화재보호협회, 대학당, 1986)
「統一新羅 一般形 石燈 硏究」(고은진, 동국대학교석사학위논문, 2016)
「韓國 雙獅子石燈 樣式 硏究 試論」(이난영, 『文化史學』 17, 2002)
집필자
진홍섭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