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현사비 ()

목차
관련 정보
서예
유적
북한 평안북도 영변군 북신현면 보현사에 있는 고려전기 에 건립된 사적비.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북한 평안북도 영변군 북신현면 보현사에 있는 고려전기 에 건립된 사적비.
내용

1141년(인종 20) 건립. 비신높이 2m, 너비 1.1m. 부석(趺石) 위에 세워져 있는데, 김부식(金富軾)이 비문을 짓고 문공유(文公裕)가 글씨를 썼다.

자경(字徑) 2.7㎝ 정도의 행서(行書)로서, 활달한 운필은 「문수원중수비( 文殊院重修碑)」를 쓴 탄연(坦然)과 일맥을 이룬다. 비신 상단에는 ‘妙香山普賢寺之記(묘향산보현사지기)’라는 인종의 친필행서가 있는데, 서풍(書風)이 탄연과 비슷하다.

비문에 의하면 보현사는 탐밀(探密)·굉확(宏廓) 등 두 명승이 전후하여 창건한 절로서, 탐밀의 성은 김씨로 25세에 출가하여 명사(名師)로부터 화엄의 교관(敎觀)을 전해받고 1028년(현종 19)에 연주산(延州山)에 들어가 절을 짓고 머물렀다고 한다.

또 굉확은 탐밀의 조카로 탐밀의 제자가 된 뒤, 5년 지나 동남쪽 모퉁이에 택지하여 243칸의 정사(精舍)를 짓고 산명을 ‘묘향(妙香)’, 사명(寺名)을 ‘보현(普賢)’이라 하고 불법에 정진하였다고 한다.

그 뒤 두 승려의 제자들이 대를 이어 주지직을 맡았는데, 문종이 이를 가상히 여겨 1067년(문종 21) 전지(田地)를 내리고, 만약 주지직이 비게 되면 문인 중에서 조사(祖師)의 뜻을 이을 자를 뽑도록 명하였다고 한다. 이에 성각(性覺) 등 문인들이 이를 길이 전하고자 건립한 것이다.

비의 음기(陰記 : 비의 등 뒤에 새긴 글)에는 두 승려의 교훈을 이어받은 여러 주지 및 문하승들의 이름이 열거되어 있다.

참고문헌

『대동금석서(大東金石書)』
『해동금석원(海東金石苑)』
『조선금석총람(朝鮮金石總覽)』
『朝鮮金石攷』(葛城末治, 東京 國書刊行會, 1974)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