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여 신성리 고분군 ( )

목차
관련 정보
선사문화
유적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에 있는 삼국시대 백제의 돌방무덤 등이 발굴된 무덤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에 있는 삼국시대 백제의 돌방무덤 등이 발굴된 무덤군.
개설

은산골에 있는 해발 140m의 성재산 중복(中腹) 남사면에는 판석조 돌방무덤(板石造石室墳), 할석조 돌방무덤(割石造石室墳), 괴석조 돌방무덤(塊石造石室墳)이 혼재되어 있어 그 수가 100여 기에 이른다. 그 중 괴석조 돌방무덤이 압도적으로 많다.

신성리 고분군이 소재한 규암면은 부여 도성(扶餘都城)에서 가장 가까운 지역이다. 고분군의 전방 약 0.5∼1㎞ 거리에는 금곡천(琴谷川)이 흐르고 있으며, 그 옆으로는 계곡평야가 상당한 면적으로 발달되어 있다.

내용

판석조 돌방무덤인 신성리 1호분은 동쪽으로 약 10°가량 기울어진 채 남향을 하고 있다. 묘실(墓室)의 전체 길이는 2.4m이다. 현실(玄室)은 길이 2.32m, 너비 76㎝, 벽 높이 60㎝, 천장 높이 89㎝이다. 널길(羨道)는 길이 8㎝, 너비 68㎝이다.

현실과 널길 간의 너비의 차이는 거의 없으나 길이의 차이는 거의 30:1에 이른다. 널길의 길이가 이렇게 급격히 짧아지는 것은 백제 후기에 많이 나타나는 현상으로 널길을 이런 식으로 거의 형식적으로만 축조하다가 나중에는 생략시켜버린다.

천장형태는 동 · 서벽 위에 장대석(長臺石)을 안쪽으로 기울게 올려놓아 꺾임천장식〔平斜天障式〕을 만들었다. 형식으로 보아 7세기 초에서 7세기 중엽에 이르는 시기에 만들어진 것 같다.

소규모 할석조 돌방무덤의 주변에 무수히 많은 백제토기조각들이 산재되어 있는 점으로 보아 당초에는 부장품이 있었던 것으로 보이나 도굴되어 현재로서는 1점도 확인할 수 없다.

한편, 신성리 은산골에 있는 고분군의 북쪽에는 백제시대의 산성인 증산성(甑山城)이 가까이 위치해 있어 이 고분군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고분군이 위치한 곳의 지형을 보면, 북쪽으로는 주산인 성재산이 있고, 동쪽과 서쪽으로는 주산에서 뻗어 나온 지맥이 있으며, 고분의 앞쪽으로는 하천과 함께 평야가 펼쳐져 있다. 이것으로 볼 때, 이 고분군은 사신사상(四神思想)에 입각해서 묘지를 선정했음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백제고분연구(百濟古墳硏究)』(강인구, 일지사, 1977)
집필자
강인구(한국정신문화연구원, 고고학)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