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석조 돌방무덤인 신성리 1호분은 동쪽으로 약 10°가량 기울어진 채 남향을 하고 있다. 묘실(墓室)의 전체 길이는 2.4m이다. 현실(玄室)은 길이 2.32m, 너비 76㎝, 벽 높이 60㎝, 천장 높이 89㎝이다. 널길(羨道)는 길이 8㎝, 너비 68㎝이다.
현실과 널길 간의 너비의 차이는 거의 없으나 길이의 차이는 거의 30:1에 이른다. 널길의 길이가 이렇게 급격히 짧아지는 것은 백제 후기에 많이 나타나는 현상으로 널길을 이런 식으로 거의 형식적으로만 축조하다가 나중에는 생략시켜버린다.
천장형태는 동 · 서벽 위에 장대석(長臺石)을 안쪽으로 기울게 올려놓아 꺾임천장식〔平斜天障式〕을 만들었다. 형식으로 보아 7세기 초에서 7세기 중엽에 이르는 시기에 만들어진 것 같다.
소규모 할석조 돌방무덤의 주변에 무수히 많은 백제토기조각들이 산재되어 있는 점으로 보아 당초에는 부장품이 있었던 것으로 보이나 도굴되어 현재로서는 1점도 확인할 수 없다.
한편, 신성리 은산골에 있는 고분군의 북쪽에는 백제시대의 산성인 증산성(甑山城)이 가까이 위치해 있어 이 고분군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고분군이 위치한 곳의 지형을 보면, 북쪽으로는 주산인 성재산이 있고, 동쪽과 서쪽으로는 주산에서 뻗어 나온 지맥이 있으며, 고분의 앞쪽으로는 하천과 함께 평야가 펼쳐져 있다. 이것으로 볼 때, 이 고분군은 사신사상(四神思想)에 입각해서 묘지를 선정했음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