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새잡요 ()

이계집 / 북새잡요
이계집 / 북새잡요
한문학
작품
조선 후기에 홍양호(洪良浩)가 지은 한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에 홍양호(洪良浩)가 지은 한시.
구성 및 형식

북쪽 변방의 풍물을 노래한 모두 62수의 시로, 『이계집(耳溪集)』 권1에 실려 있다. 제목에서 요(謠)라고 밝힌대로 시형(詩型)은 일정하지 않고, 4·5·6·7언이 섞여 있다.

지은이는 의주·홍주·경흥부사와 평안감사 등의 외임을 거쳤는데, 이 시는 「삭방풍요(朔方風謠)」 55수, 『북새기략(北塞記略)』 등과 함께 북쪽 변방에서 진수(鎭守)하였던 생생한 체험을 바탕으로 지어진 것이다. 전체 62수로 되어 각 편마다에는 다시 소제목을 붙였다.

내용

「귀문(鬼門)」·「형제암(兄弟巖)」·「백두산(白頭山)」·「두강(豆江)」 등과 같이 북새지방의 지명을 제명으로 하여 그곳의 지형과 시절에 대한 감회를 노래한 것도 있고, 또 「송어(松魚)」·「녹용(鹿茸)」·「적구피(赤狗皮)」·「목궁(木弓)」 등 지방의 특산물과 풍물을 기록하기도 하였다.

「북방문(北方蚊)」에서는 크기가 벌보다 큰 그곳의 모기를 읊으면서 백성의 고혈을 빨아먹는 자들을 비판하였고, 「칠월상(七月霜)」에서는 칠월에 일찍 내린 서리로 열매 맺지 못하는 백곡을 말하며 백성의 살림을 걱정하는 등 목민관으로서의 따뜻한 마음가짐을 잊지 않았다.

의의와 평가

변방에서 고을살이할 때의 직접적인 체험을 낯선 풍물에 대한 세밀한 관찰과 백성에 대한 애정, 집에서 멀리 떠나 있는 나그네의 심회 등에 얹어 조화롭게 그려낸 작품이다.

참고문헌

『이계집(耳溪集)』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