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수리 영등당 ( )

목차
관련 정보
북제주 한수리 영등당 정면
북제주 한수리 영등당 정면
민간신앙
유적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림읍에 있는 영등대왕을 모신 신당.
이칭
이칭
영등당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림읍에 있는 영등대왕을 모신 신당.
내용

영등신을 모신 당으로 한수리 서쪽 밭 가운데에 있다. 영등신은 매년 2월 1일에 제주를 찾아와 농어민에게 풍요를 주고 2월 15일에 돌아간다고 한다. 당은 팽나무를 신목으로 하여 그 앞에 돌로 제단을 만들고 주위를 돌담으로 둘러놓은 형태이다. 신명은 영등대왕이다.

본풀이에 따르면 신은 황영등이라는 이름의 영등대왕인데, 용왕황제국에 살고 있었다. 어느 날 한수리 어부들이 고기 낚으러 배를 몰고 가다가 풍파에 몰려 애꾸눈이섬에 표류하며 도착하였다.

그 섬에 사는 애꾸눈이들은 사람을 잡아먹는 자들로서 좋은 반찬이 왔다고 벼르고 있던 참인데, 영등대왕이 이를 알고 어부들을 몰래 살려 도망치게 해주었다.

어부들은 영등대왕의 지시대로 ‘관음보살’을 염송하면서 한수리 가까이 오게 되자, 안심하고 ‘관음보살’ 염송을 중단하였더니 다시 광풍이 일어나 배는 또 다시 애꾸눈이섬에 표류하며 도착하였다. 영등대왕은 다시 선심을 베풀어 뭍에 닿을 때까지 ‘관음보살’을 염송하면서 가라고 하여 살려 보내주었다.

그러면서 “나는 너희들 때문에 죽게 될 것이요, 2월 초하루에 제주에를 찾아갔다가 15일에 돌아올 것이니 내 공을 잊지 말아달라.”라고 당부하였다. 과연 애꾸눈이들은 좋은 반찬을 놓치게 하였다고 하여 영등대왕을 세 토막으로 잘라 죽여버렸고 그 시체 토막이 제주의 세 포구에 표류하며 도착하였다.

그러자 한수리 어민들은 영등당을 만들어 영등대왕을 모시고 그를 추모하는 굿을 시작하였다. 얼마 전까지는 매년 2월 초하루에서부터 4일간 영등당에서 큰 굿을 하고, 15일에는 짚으로 작은 배를 만들어 영등대왕을 태워 보내는 행사를 해왔는데, 지금은 당굿이 없어졌다.

당시는 당굿을 하려면 매인 심방과 소무들이 한수리를 비롯하여 수원리·한림리·대림리 등 근처 마을까지 집집을 돌면서 굿을 쳐주어 잡곡 한 양푼씩을 모아다 그것으로 제물을 차리고 심방들의 품삯을 주어 굿을 하였다.

제주도에서는 일반적으로 여러 마을의 본향당에서 영등신을 위한 영등굿을 하며 영등신을 단독으로 모시고 영등굿을 해온 곳은 도내에서 이 당뿐이다.

참고문헌

『남국의 무가』(진성기, 제주민속문화연구소, 1968)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현용준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