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청사기 상감 모란문 반합 ( )

목차
관련 정보
분청사기 상감모란문 반합
분청사기 상감모란문 반합
공예
유물
국가유산
조선 전기의 분청사기 반합.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분청사기 상감모란문 반합(粉靑沙器 象嵌牡丹文 飯盒)
분류
유물/생활공예/토도자공예/분청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1963년 01월 21일 지정)
소재지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로 102-11 (성북동, 간송미술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전기의 분청사기 반합.
내용

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16㎝, 입지름 15.3㎝, 밑지름 7.8㎝. 간송미술관 소장. 회색 태토(胎土)에 백토(白土)로 면상감(面象嵌)한 뒤 연한 청색을 띤 회백색의 투명한 유약(釉藥)을 얇게 골고루 칠하였으며 광택이 있다.

무늬는 도식화되었으며, 주문양(主文樣)인 모란무늬가 활달하게 전개되고 있는 사이로 큰 줄기를 율동감 있게 둘렀다. 합신(盒身)의 아가리[口緣部]에는 초화문양대(草花文樣帶)를 둘렀으며 그 아래 두 줄의 선을 긋고 그 안에 한정시켜 모란무늬를 상감하였다. 뚜껑 아가리 역시 초화문양대를 두고 위로 두줄의 선 안에 모란을 배치한 뒤 다시 위로 가지를 뻗어 모란 한송이를 윗면에 상감하고 있다. 뚜껑의 안쪽에는 무늬가 없다.

조선 초기의 풍만하고 양감이 있는 합의 형태를 잘 반영한 대표적인 작품이며 굽의 형태도 밑으로 벌어져 있어 안정감을 더해 주고 있다. 이 합과 비슷한 면상감 기법의 파편이 1963년에 광주광역시 북구 충효동 요지에서 발굴, 조사된 바 있다.

참고문헌

『무등산충효동가마터』(국립광주박물관 1993)
『분청사기연구』(강경숙, 일지사, 1986)
『국보』백자·분청사기(정양모 편, 예경산업사, 1983)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