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19.1㎝, 입지름 5.7㎝, 밑지름 10㎝. 경북대학교박물관 소장. 회색 태토(胎土)로 만든 편병에 상감과 인화기법으로 문양을 장식한 다음 투명한 유약을 발랐다. 형태는 높이보다 배지름이 넓어서 양감 있고 둥글다. 편병은 조선시대 전시대를 통하여 만들어졌지만 이러한 형태는 주로 조선시대 초기 분청사기에서 보이며 시대가 내려오면서 앞뒤가 납작해진다.
무늬는 입이 있는 바로 밑에 연주문양대(連珠文樣帶)가 있고 그 밑 어깨부분에는 국화인화문(菊花印花文)을 가득 채운 연판문(連瓣文)이 상감기법의 윤곽선으로 둘러져 있다. 복부(腹部)의 앞뒤 편평한 곳에는 연주문(連珠文)으로 능화형(菱花形)을 만들고, 그 안에 흑백상감의 연화문을 새기고 양측면에는 국화인화문을 배경으로 한 초엽문이 흑상감되어 있다. 밑부분에는 중연판문(重蓮瓣文)이 상감되었고 굽둘레에는 연주문이 있다.
상감과 인화기법이 병행되어 사용되었으며, 상감된 흑색 단선은 도안의 효과를 한층 더 높여준다. 이와 같은 무늬기법과 형태를 통해 이 편병이 15세기 전반기의 작품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