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청사기 음각 어문 편병 ( )

목차
관련 정보
분청사기 음각어문 편병
분청사기 음각어문 편병
공예
유물
국가유산
조선 전기의 분청사기 편병.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분청사기 음각어문 편병(粉靑沙器 陰刻魚文 扁甁)
분류
유물/생활공예/토도자공예/분청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국보(1974년 07월 09일 지정)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전기의 분청사기 편병.
내용

1974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높이 22.6㎝, 입지름 4.5㎝, 밑지름 8.7㎝.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앞뒤 양면의 배 부분을 납작하게 하여 비교적 양감이 많이 누그러진 편병이다. 백토분장(白土粉粧)을 두껍게 입히고 조화(彫花)기법으로 무늬를 그린 위에 연한 청색이 감도는 투명한 유약을 입혔다.

무늬는 앞뒷면과 옆면에 서로 다른 무늬를 배치하고 어깨 부분에는 따로 무늬대를 두지 않았다. 앞뒷면에는 위로 향한 두 마리의 물고기를 생동감이 넘치는 활달한 선의 조화기법으로 시문하였다. 양 옆면은 상·중·하 세 부분으로 나누어 위와 중간부분에는 변형4엽모란문(變形四葉牡丹文)을 선각(線刻)하고 배경을 긁어냈으며, 아랫부분은 파초를 선각기법으로 나타냈다.

굽다리 언저리에는 백토분장이 다소 조잡하게 되어 있으나 생동하는 물고기무늬는 분청사기 조화기법의 특징을 충분히 반영하고 있다.

참고문헌

『분청사기연구』(강경숙, 일지사, 1986)
『국보』-백자·분청사기-(정양모 편, 예경산업사, 1984)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