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칠원위설 ()

목차
유교
작품
조선 말기의 학자 이진상(李震相)이 지은 논문.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말기의 학자 이진상(李震相)이 지은 논문.
내용

『한주집(寒洲集)』 권32 잡저에 실려 있다. 사단(四端)과 칠정(七情)의 원위(原委: 근본과 말단을 의미함)를 밝히고자 쓴 글이다.

이진상 이전에 사단과 칠정에 관한 논변에는 이황(李滉)의 이기호발설(理氣互發說)과 이이(李珥)의 기발이승일도설(氣發理乘一途說)의 두 가지가 서로 대립되어 왔다. 이진상은 이이의 설을 부정하고 이황의 설을 따랐으나 그것은 다만 호발(互發)일 뿐 각발(各發)이 아니라는 점에서 그런 것이지, 진정으로 호발설을 좇은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그는 호발보다는 이발(理發)만을 주장한다. “기의 생도 이에 근본한다(氣之生, 本於理).”고 하여 사단과 칠정이 모두 이발이라고 한다.

『중용』에서 말한 희로애락(喜怒哀樂)의 정은 모두 이미 발한 이(已發之理)로 설명해, 성(性)이 발한 것으로, 하나의 이(一理)로 이해하고 있다. 그러므로 성과 정의 실상은 다만 이발만 있고 기발은 없다고 한다. 이는 발하는 것의 주(所發之主)이고 기는 발하는 것의 자(所發之資)이므로 기가 스스로 발해 정이 될 수는 없다는 것이다. 사단 뿐 아니라 칠정도 이발이라는 주장은 칠정도 사단이 없을 수가 없다고 보기 때문이다.

맹자(孟子)의 “삶도 내가 바라는 것이고 죽음도 내가 싫어하는 것이다(生亦我所欲, 死亦我所惡).”는 칠정을 말한 것이나, “삶을 버리고 의를 취한다(舍生取義).”는 것은 바로 사단이라고 한다. 그러나 사단이라고 반드시 선(善)한 것은 아니다. 또한, 이발이라고 칠정이 모두 선한 것도 아니다. 그러므로 그는 선한 것은 이의 실(理之實)이고 악한 것은 이의 반(理之反)이라 하여, 사단이나 칠정이 모두 발할 때의 처음에는 모두 이발로서 선이나, 발의 재료[資]인 기가 이를 순종하지 않으면 악이 된다고 보았다.

참고문헌

『퇴계집(退溪集)』
『율곡집(栗谷集)』
『한주집(寒洲集)』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