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문 ()

목차
관련 정보
현대문학
개념
운문에 대립되는 글의 양식으로 일정한 운율이나 정형성을 지니지 않은 문장.
내용 요약

산문은 운문에 대립되는 글의 양식으로 일정한 운율이나 정형성을 지니지 않은 문장이다. 대체로 일상적인 표현 방식이나 언어 용법으로 짜여져 있다. 변용의 논리에 선 표현 양식이며, 평범하거나 일상적인 언술로 나타난다. 또한 의미의 표현과 지시의 힘에 의존하여 명료성을 살려내고자 하는 양식이다. 글을 쓴 의도가 어디에 있느냐에 따라 묘사문·서사문·설명문·논설문 등으로 유별한다. 산문의 유형은 크게 소설, 에세이와 같은 ‘수사적 산문’과 평론, 논문, 사설과 같은 ‘논리적 산문’으로도 나눌 수 있다.

목차
정의
운문에 대립되는 글의 양식으로 일정한 운율이나 정형성을 지니지 않은 문장.
내용

대체로 일상적인 표현 방식이나 언어 용법으로 짜여져 있는 글, 이것이 바로 산문에 대한 통념이다. 산문의 기본 의미와 형태 그리고 여러 가지 특질들을 정확하게 알려면, 운문과 대비시켜보는 작업이 필요하다. 실제로 산문은 운문과는 차별성을 내보이는 가운데서도 동질성 또한 분명하게 드러내고 있다.

서사시주1 · 자유시 · 주2 · 주3, 그리고 중국의 한 표현 양식인 부(賦) 등과 같은 표현 양식들은 산문적 특질과 운문적 성격의 상호침투 가능성을 잘 입증해주고 있다. 조선조의 한 표현 양식인 가사(歌辭)도 운문과 산문이 자연스럽게 합성될 수 있는 것임을 잘 일러준다.

머조리 불톤(Boulton, M.)의 이론을 중심으로 하여 산문과 운문의 차이점을 밝혀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운문이 그 핵심적 특질인 리듬을 주로 반복성(repetition)의 원리에서 짜나가는 것인 데 반해 산문은 변용(variation)의 논리에 선 표현 양식이라 할 수 있다. 여기서 변용이라 함은 구체적으로는 서론 · 본론 · 결론이나 발단 · 전개 · 대단원 등과 같은 구성 방법을 가리키는 것으로, 이러한 구성 방법도 리듬의 한 형태가 될 수 있다.

둘째, 운문은 대체로 ‘비범한’ 언표형식(言表形式)을 지향하는 데 반해 산문은 평범하거나 일상적인 주4로 나타난다. 또한, 운문이 ‘최적의 질서 속에 놓여 있는 최적의 단어의 모임’인 데 비해 산문은 ‘최적의 질서 속에 있는 단어들’로 설명된다. 이처럼 언어의 선택 과정에서 운문의 경우가 산문의 경우보다 더욱 큰 노력을 해야 되는 것이기는 하나, 그렇다고 언어의 사용 과정에서 산문을 쓰는 사람이 덜 기술적이어도 좋다는 말은 아니다. 정확한 언어를 선택하기 위한 노력은 사실상 운문의 경우에서나 산문의 경우에서나 똑같이 있어왔다.

셋째, 운문이 모호성(模糊性, ambiguity)의 가능성을 살리는 중에 고도의 환기(喚起)를 꾀하고 매혹감을 안겨주려고 하는 양식이라면, 산문은 언어의 기능적 측면, 다시 말해서 일정한 의미의 표현과 지시의 힘에 의존하여 명료성(clarity)을 살려내고자 하는 양식이다. 운문의 궁극의 목표가 ‘환기력’과 ‘매혹감’에 있다면, 산문의 성패는 ‘명료성’의 성취도에 좌우되는 것이라 하겠다.

넷째, 예로부터 운문은 ‘호수’나 ‘무용’으로 비유되어왔고 산문은 ‘숲’이나 ‘도보’로 비유되어왔다. 그 만큼 운문은 최소의 단어로써 최대의 의미를 드러내고자 하는 압축미를 생명으로 삼는다. 이처럼 산문은 운문과의 차별성을 통해서 저절로 그 기본성격과 특질을 드러내게 된다.

그러나 이상에서 밝힌 산문과 운문 사이의 차이점은 이따금 동질성으로 뒤집어질 가능성 앞에 놓여 있다. 최소한 산문적 특질과 운문적 성격의 상호 침투성은 엄연한 현실로 나타나고 있다. 산문이 종래에 운문의 고유한 특질로 알려져 왔던 것들을 흡수하여 자체의 양식 변화를 꾀한 예는 적지 않다. 시적 표현을 구사하거나 주5 분위기를 살려낸 소설수필은 운문을 흡수한 산문 양식의 좋은 예가 된다.

산문에 있어서 단문주의, 미문주의. 비약과 생략의 기법, 완벽한 구성 등은 산문과 운문의 조화로운 합성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이효석(李孝石)의 농촌 배경 소설, 이태준(李泰俊)의 서정소설, 이상(李箱)의 소설, 황순원(黃順元)의 단편소설 등은 운문의 성격을 받아들여 산문의 새로운 경지를 구축한 적절한 실례가 된다.

산문의 갈래를 나누는 방법은 실로 다양하다. 흔히, 교과서 부류의 책에서는 글을 쓴 의도가 어디에 있느냐에 따라 산문을 묘사문 · 서사문 · 설명문 · 논설문 등으로 유별한다. 여러 가지 있을 수 있는 산문 유형론들 중에서도 소설이나 에세이가 모델이 되고 있는 ‘수사적 산문(rhetorical prose)’과 평론이나 각 분야의 논문 또는 사설이 대표적인 예가 되고 있는 ‘논리적 산문(rational prose)’으로 대별하는 것은 가장 흔한 방법이다. 또, 연설 · 설교 · 강의 · 논평 등으로 구체화되는 ‘구두산문’과 ‘글로 씌어진 산문’으로 대별하는 것도 낯익은 방법이다.

불턴은 『산문의 분석(Anatomy of Prose)』이라는 책에서 산문을 다음과 같이 다섯 가지 유형으로 나누었다. 첫째, 이야기를 전달하는 데 목적을 둔 서사적 산문(narrative prose)이다. 둘째, 지적인 논증과 감정에 대한 호소를 동시에 꾀한 논술적 산문(argument prose)으로 문학비평 · 철학논문 · 선거연설문 · 정치평론 등이 그 좋은 예이다.

셋째, 연극에서 대사 부분과 같은 극적 산문(dramatic prose)으로 이 유형의 산문은 기본적으로 ‘구두산문’에 속한다. 넷째, 일정한 지식이나 정보를 알려주는 데 목적을 둔 정보전달적 산문(informative prose)으로 이런 유형의 산문은 교과서 · 사전 · 개론서 · 보고서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다섯째, 종교적 에세이나 정치문제를 다룬 논설과 같은 사색적인 산문(contemplative prose) 등이다.

대체로 산문은 단어 · 문장 · 단락 · 장(章)이나 절(節) 등의 층승적(層昇的)인 단위로 구성된다. 실제로 한 편의 산문을 분석할 때는 단어나 문장이나 단락이나 그 어느 한 가지를 중심으로 해서 볼 수가 있다. 작은 단위를 집중적으로 살펴본 다음, 보다 큰 단위로 옮겨가는 것이 산문 분석의 자연스러운 순서가 될 것이다.

참고문헌

『소설원론(小說原論)』(조남현, 고려원, 1982)
Anatomy of Prose(Boulton, M., Routledge & Kegan Paul, 1968)
Dictionary of World Literature(Shipley, J., Littlefield, Adams & Co., 1972)
A Glossary of Literary Terms(Abrams, M.H., Holt, Rinehart and Winston Inc., 1971)
주석
주1

역사적 사실이나 신화, 전설, 영웅의 사적 따위를 서사적 형태로 쓴 시. 서정시, 극시와 함께 시의 3대 부문 가운데 하나로, 서양의 <일리아드>ㆍ<오디세이>, 우리나라 이규보의 <동명왕편>, 김동환의 <국경의 밤#GT#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주2

산문 형식으로 된 시. 시행을 나누지 않고 리듬의 단위를 문장 또는 문단에 둔다. 산문과는 달리 서정적으로 시화하여 묘사한다는 데 특징이 있다. 우리말샘

주3

중세 유럽에서 형성된 정형시의 하나. 자유로운 형식의 짧은 서사시이다. 우리말샘

주4

일정한 사실을 자세히 말함. 우리말샘

주5

정서를 듬뿍 담고 있는. 또는 그런 것.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